<p></p><br /><br />오늘부터 시작된 문재인 대통령의 유럽 순방에서 가장 눈여겨 볼 일정은 18일 교황과의 면담인데요.<br><br>북한의 교황 초청 의사를 전달하는데, 지금의 대화국면에서 어떤 역할을 할지 주목됩니다.<br><br>강병규 기자가 보도합니다.<br><br>[기사내용]<br>오늘 부터 7박9일 간의 유럽 순방길에 오른 문재인 대통령.<br><br>특히 주목되는 일정은 청와대가 북한의 교황 초청 의사를 전달할 것이라고 밝힌 18일 프란치스코 교황 면담입니다.<br><br>한국당과 바른미래당 등 야권에서도 교황 방북에 대해 큰 이견이 없는 상황.<br><br>북한의 비핵화 모멘텀을 살리고 전격적인 개혁개방을 이끌어 낼수 있다는 기대감 때문입니다.<br><br>과거 교황 요한 바오로 2세는 공산 국가였던 고국 폴란드를 방문해 동구 공산권 붕괴의 신호탄 역할을 했고,<br><br>프란치스코 교황 역시 남북화해와 한반도에 대한 각별한 관심을 표해왔습니다.<br><br>[프란치스코 / 교황(지난 4월)]<br>"남북간 평화와 우의가 더욱 돈독해지리라는 희망이 좌절되지 않기를, 양측이 좋은 결실을 맺기를 기원합니다."<br><br>프란치스코 교황이 독재국 쿠바나 내전의 상흔이 깊은 콜롬비아,인권 열악국 미얀마 등을 방문한 전력도 방북 가능성에 무게를 <br>싣게합니다.<br><br>그러나 교황이 평양에 갈 경우 북한 인권에 대한 책임있는 언급을 해야한다는 점이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.<br><br>교황청은 일단 문 대통령이 북한의 초청의사를 공식 전할 때까지 관련 언급을 하지 않겠단 입장입니다.<br><br>채널A 뉴스 강병규입니다. <br>ben@donga.com<br>영상취재: 김준구 한효준 박찬기<br>영상편집: 이승근<br>그래픽: 김승욱