■ 진행 : 김정아 앵커 <br />■ 출연 : 왕선택 YTN 통일외교 전문기자 <br /> <br /> <br />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북미 정상회담 개최가 11월 6일 중간선거 이후라고 확인하면서 한반도 정세 격변 상황이 숨고르기 양상을 보이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이런 가운데 트럼프 대통령의 승인 발언을 계기로 한미 공조 균열 논란이 가라앉지 않고 있습니다. 왕선택 통일외교 전문기자와 함께 한반도 정세 격변 상황점검해 보겠습니다. 왕선택 기자 어서 오십시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안녕하세요. <br /> <br /> <br />바로 지난주 이 시간이 방북했던 폼페이오 장관이 청와대로 향했던 시간인데요. 한반도 정세와 관련해서 지난주 굉장히 굵직한 일들이 많았습니다. 정리를 해볼까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그렇습니다. 굉장히 오래된 일 같지만 바로 일주일 전 얘기였습니다. 폼페이오 장관 평양에 갔다가 서울에 왔고요. <br /> <br />그다음에 이틀 뒤인 9일 우리 시간으로는 10일 새벽이 되겠는데트럼프 대통령이 북미 정상회담이 중간선거 이후가 될 것이다라고 확인을 했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시점을 그러니까 확인을 해 준 거예요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그렇죠. 그 당시 그 시점까지는 가장 초미의 관심사였는데 이후다 이렇게 확인을 했고 그것이 그야말로 한반도 평화 외교, 정세 격변, 이 상황에 하나의 숨고르기 국면에 들어가는 신호탄이 됐습니다. <br /> <br />그 이후에 또 유사한 얘기가 많이 나왔습니다. 예를 들어서 강경화 외교부 장관의 5.24 조치 발언을 놓고 국내에서 논란이 뜨겁게 일었고 바로 다음 날 트럼프 대통령이 승인 발언이 나와서 그야말로 어떻게 보면 뒤집어지는 상황이 벌어졌는데 이런 것들이 지난 일주일 동안 벌어진 일인데 마치 한 달, 두 달 전에 벌어진 일같이 오래된 일처럼 느껴집니다. <br /> <br /> <br />주 후반에 나왔던 트럼프 대통령의 승인 발언 이후에는 한반도 정세가 그동안 숨통이 막혀 있었는데 조금 트인 측면이 있거든요. 이런 측면에서 긍정적으로 봐야 할까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숨고르기 국면 직전이 분수령이 폼페이오 장관의 평양 방문이었죠. <br /> <br />북한 방문을 통해서 그전에 교착국면이라고 표현됐던 그런 상황이 뭔가 돌파구가 있느냐, 없느냐 그랬었는데 이것이 폼페이오 장관이 돌아오면서 중대한 진전이 있었다라고 하면서 좀 더 긍정적으로 이동을 했었습니다. <br /> <br />그래서 혹시라도 중간선거 이전에 북미 정상회담으로 이어져서 그야말로 한반도 정세 격변 상황이 모멘텀이 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1_201810141823495131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