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고속도로에서 편리하게 쓰는 '하이패스' 요금이 정확하게 빠져나가고 있는지 확인하셔야 겠습니다. <br> <br>더 가져간 사례만 4만 건인데 도로공사는 이 사실을 알면서도 고객에게 알리지 않았습니다. <br> <br>김철웅 기자입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고속도로 운전자 열에 여덟 명이 이용하는 '하이패스'. <br><br>그런데 시스템 오류로 부당하게 초과 부과된 금액이 상당합니다. <br><br>지난 4년 동안 단말기 오작동 등으로 초과 징수된 사례만 4만 건, 2억 7천만 원에 달합니다. <br><br>3년 전에 비해 10배나 늘었습니다. <br><br>"천안-논산 구간 고속도로는 하이패스 오류의 절반 이상이 발생하는 곳입니다. 특정 구간에서 오류가 집중된 이유도 아직 모릅니다." <br> <br>잘못 거둬들인 요금이 쌓이는데도, 한국도로공사 측은 고객에게 알리지 않았습니다. <br> <br>[김태환 / 부산] <br>"추가로 거뒀으면 다시 줘야 하는 거 아닌가요. 후불제로 해놔서 얼마나 나가는지 확인 안 하거든요." <br> <br>[이경우 / 경기 김포시] <br>"잘못 과금된 거잖아요. 알고도 안 돌려주는 건 사기 치는 것 같고…" <br> <br>피해 이용자들이 환불을 요청해야 돈을 돌려줬는데 그나마 선불카드를 충전할 때 우연히 알게 된 경우가 많았습니다. <br> <br>때문에 환불된 비율은 올해 기준, 19.2%에 불과합니다. <br> <br>도로공사 측은 조만간 환불 대상 고객에게 문자메시지와 우편을 발송할 계획입니다. <br> <br>[박홍근 / 더불어민주당 의원] <br>"(뒤늦게) 반환 조치를 시스템을 갖춰서 하겠다는 건데, 도로공사의 안이한 인식을 그대로 반영한 겁니다." <br> <br>요금 심사 시스템이 도입되기 전인 2015년 2월 이전 발생한 초과 징수는 아예 규모조차 파악이 안 된 상태입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김철웅입니다. <br>woong@donga.com <br> <br>영상취재 : 조세권 <br>영상편집 : 김지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