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'김정은 위원장은 서해상 NLL을 잘 지키겠다고 약속했다.' 문재인 대통령의 설명입니다. <br><br>하지만 북한 경비정들은 여전히 무시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국방부 고위관리는 '김정은의 생각이 아직 일선 지휘관에게 전달되지 않은 탓'이라고 설명합니다. <br> <br>수긍하시겠습니까. <br> <br>조아라 기자입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북한은 그제, 연평도 인근 우리 경비정을 향해 "북측 수역을 침범하지 말라"는 경고 방송을 했습니다. <br><br>당시 위치는 NLL 훨씬 남쪽이었지만 북한이 주장하는 '경비계선'을 넘었다는 겁니다. <br><br>[노재천 / 합동참모본부 공보실장] <br>"NLL 인근에서 우리 해군은 정상적으로 경계 작전을 진행하고 있었습니다. (북측의) 경고성 발언으로 평가하고 있습니다." <br> <br>문재인 대통령은 판문점 선언과 평양 선언으로 북한이 NLL을 인정했다고 밝혔지만, 정작 현장에선 NLL 무력화 도발이 계속되고 있는 겁니다. <br> <br>논란이 커지자 국방부 고위 관계자는 채널A와 통화에서 "남북간 협상이 과거와 달리 톱다운 방식으로 이뤄지면서 생길 수 있는 일"이라고 설명했습니다.<br><br>김정은 위원장의 결정이 아직 말단 군부대까지 전달되지 않아 과거 방식대로 했다는 얘깁니다. <br> <br>군 내부 갈등 가능성도 언급했습니다. 합의를 한 북한 수뇌부와 서해 최전방 4군단 사이 이견이 있을 수 있다는 겁니다. <br> <br>김정은 위원장이 아직까지 군부를 완전히 장악하지 못했다는 건데 평양을 비워두고 싱가포르 등을 다녀오는 김 위원장의 현재 상황과 맞지 않다는 지적입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조아라 입니다. <br> <br>likeit@donga.com <br>영상취재: 조승현 <br>영상편집: 김태균 <br>그래픽: 박재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