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이탈리아 로마의 한 켠에 위치한 가톨릭의 본거지 바티칸. 그곳엔 살아 숨쉬는 전통이 많습니다. <br> <br>스위스 근위병만을 고집해 왔고, 지구상에서 유일하게 라틴어를 공용어로 씁니다. <br> <br>강지혜 기자가 바티칸과 교황면담의 특징을 짚어봤습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가톨릭에서는 교황과의 만남을 '알현'이라 합니다. <br> <br>성베드로 대성당 발코니에서 방문자들과 인사를 나누는 일반 알현과 달리, <br> <br>[현장음] <br>"대단히 감사합니다." <br><br>문 대통령과의 단독 면담은 개인 알현(private audience)에 해당합니다.<br> <br>배석자가 없는 게 원칙이지만 이번에는 비밀 엄수 서약을 한 통역자 한 명만 허용했습니다. <br><br>현재 교황청에 파견돼 있고 한국어와 이탈리아어를 능통하게 구사하는 한현택 아우구스티노 신부입니다.<br> <br>이 같은 '비밀 엄수'은 중세시대 부터 각국의 왕들을 접견해온 교황이 지켜온 전통. 때문에 일반 정상회담과 달리 대화 기록도, 녹음도 허용되지 않습니다. <br> <br>다만 교황의 방북 여부처럼 전세계적 관심이 쏠린 사안은 청와대와 교황청이 협의해 예외적으로 공개합니다. <br> <br>올해도 교황은 한반도 평화를 기원하는 발언을 수차례 이어왔습니다. <br> <br>[프란치스코 / 교황 (지난 4월)] <br>"남북간 평화와 우의가 더욱 돈독해지리라는 희망이 좌절되지 않기를, 양측이 좋은 결실을 맺기를 기원합니다." <br> <br>교황은 면담 시간을 교황청이 당초 제안한 20분에서 직접 1시간 정도로 늘릴만큼 적극적이었던 것으로 전해졌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강지혜입니다. <br> <br>kjh@donga.com <br>영상취재 : 김준구 박찬기 <br>영상편집 : 최동훈