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어제 서울 도심에서 카카오 카풀 서비스에 반대하는 택시기사들의 대규모 집회가 열렸죠. <br> <br>논란이 뜨겁지만 카풀 운전자 등록 어플을 내려받은 사용자가 10만 명을 넘어섰습니다. <br> <br>김지환 기자입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 지난 16일 카카오가 내놓은 카풀서비스 어플입니다. 사흘 만에 다운로드 수는 10만 건을 넘어섰고, 인기 어플순위 1위까지 올랐습니다. <br> <br> 운전자 등록용 어플이기 때문에 서비스가 본격 시작되면 상당수는 운전자로 활동할 것으로 보입니다. <br> <br> 국토부는 카풀 횟수를 하루 2번으로 제한하는 조건으로 카풀 서비스를 허용하는 중재안을 내놨습니다. <br> <br>[국토부 관계자] <br>"출퇴근이면 출근 1번, 퇴근 1번이니까 횟수를 제한하고 전업화 되는 건 저희도 반대니까 그렇게 하는 건 어떠냐…" <br> <br>하지만 택시업계는 카풀 자체에 반대하면서 협상을 거부했습니다. <br> <br>[택시업계 관계자] <br>"우버도 불법으로 규정돼서 퇴출된 상황인데 이름만 카풀로 바꿨을 뿐이지. 전혀 다른 게 없기 때문에…" <br> <br> 택시업계의 반발에 대해 시민들의 반응은 대체로 냉담합니다. <br> <br>[양진욱 / 서울 동대문구] <br>"평소에 택시 탈 때는 승차거부나 안 오고 하는게 많았는데 카풀하면 편리해지니까…" <br> <br>[송지은 / 서울 동작구] <br>"신사업들이 발전하기 위해서는 계속 새로운 서비스가 도입돼야…" <br> <br> 카카오 측은 한동안 사라졌던 카풀 논의가 나오는 것만으로 반기면서도, 협상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김지환입니다. <br> <br>ring@donga.com <br>영상취재 이철 <br>영상편집 조성빈