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2차 북미 정상회담이 내년 초로 미뤄질 수 있다는 미국 고위 당국자의 발언이 어제 나왔었죠.<br><br>트럼프 대통령도 북한과의 협상을 '서두르지 않겠다'고 강조했습니다.<br><br>하지만 앞으로 북미 회담의 일정을 가늠할 변수가 등장했습니다. <br><br>박민우 기자가 소개합니다. <br><br>[기사내용]<br>[도널드 트럼프 / 미국 대통령 (20일)]<br>우리가 전쟁까지 하려던 북한이 지금 어떤지 보세요. 잘 될 겁니다. 서두르지 마세요."<br><br>트럼프 대통령이 북한 문제를 서두를 필요가 없다며 '속도조절'을 강조했습니다.<br><br>'대북 제재'와 '시간'을 지렛대로 협상국면을 유지하면서, 섣부른 합의를 하지않겠다는 뜻을 분명히 한 겁니다.<br><br>미국과 결이 다른 시간표, 즉 정부가 목표로 한 연내 종전선언은 물론, 남북 관계개선 사업에 차질이 빚어질 가능성도 제기됩니다.<br><br>때문에 곧 열릴 것으로 보이는 북미 고위급 회담이 타결 국면 카드가 될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.<br><br>[마이크 폼페이오 / 미국 국무장관 (20일)]<br>"열흘 내에 저와 제 카운터파트간의 고위급 회담이 열리길 희망합니다." <br><br>당시 폼페이오 장관이 '여기'라는 표현으로 만남 장소가 미국임을 시사한 만큼, 김여정 부부장이 특사 자격으로 워싱턴을 방문할 것이란 관측도 나옵니다. <br><br>김여정의 방미가 성사된다면 김정은 위원장의 친서 전달과 함께, 폼페이오 장관, 이방카 선임고문과의 만남 가능성도 있습니다.<br><br>채널A 뉴스 박민우입니다.<br><br>minwoo@donga.com<br>영상편집 : 이희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