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천연기념물 서식지 훼손...방지 장치 허술 / YTN

2018-10-21 12 Dailymotion

산에서 나무를 없애는 것은 야생 동식물의 집을 빼앗는 것과 같다고 합니다. <br /> <br />개발이란 이름 아래 벌어지는 무분별한 벌채로 산림 생태계가 몸살을 앓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이를 막기 위한 장치는 허술할 따름입니다. <br /> <br />송세혁 기자가 취재했습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나무 위에서 먹이 찾기에 바쁜 검은 새 한 마리 <br /> <br />천연기념물이자 멸종위기 야생생물로 지정된 까막딱따구리입니다. <br /> <br />한때 흔하게 볼 수 있었는데 지금은 개체 수가 확 줄었습니다. <br /> <br />주변을 살펴보면 이유를 금방 알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올곧게 자란 나무를 찾기 힘든 황량한 벌판으로 변해버렸습니다. <br /> <br />목재로 팔기 위해 나무를 마구 베어냈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나무를 베어낸 현장입니다. <br /> <br />최근 2년 동안 이곳에서 벌채된 산림은 축구장 18개를 합친 면적에 이릅니다. <br /> <br />멸종위기종이 사는 숲은 엄격하게 관리해야 합니다. <br /> <br />그런데도 벌채가 가능한 것은 허술한 환경 영향평가 탓입니다. <br /> <br />나무를 베어내기 전 산림청이 만든 환경영향평가서입니다. <br /> <br />희귀한 야생동물은 발견하지 못했다고 표시됐습니다. <br /> <br />[산림청 관계자 : 벌채지역 조사하는 중에 봤던 걸 적는 거죠. 없으면 없는 것으로 적죠.] <br /> <br />그나마 국제산림관리협의회 인증을 받지 못하면 이런 형식적인 조사조차 이뤄지지 않습니다. <br /> <br />산림청은 올해부터 면적이 5ha를 넘으면 10%를 남기는 친환경 벌채를 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10ha 이상이면 환경단체가 참여하는 벌채 심의회도 열고 있다고 덧붙였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이마저도 허점투성입니다. <br /> <br />벌채 면적을 10ha 이하로 나눠서 추진하면 심의를 피할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[조범준 / 야생동물연합 : 특히 활엽수림 같은 경우에는 야생동물 먹이가 돼야 하는 식물이기 때문에 이게 베어진다면 (민가로 내려와) 농작물 등 상당한 피해를 줄 수 있죠.] <br /> <br />한 번 파괴된 생태계는 복원이 매우 어렵습니다. <br /> <br />면적에 상관없이 전문적인 환경 영향 조사를 의무화하는 등 제도 개선이 시급해 보입니다. <br /> <br />YTN 송세혁[shsong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15_201810220146415125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