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'고용 세습'에 대한 실망이 커지자 공기업들은 입을 닫고 있습니다. <br> <br>국회에 자료 제출이 늦어지고 있고, 언론의 취재에는 이렇게 저렇게 대응하라는 지침이 배포됐습니다. <br> <br>야당은 국정감사가 끝나는 29일까지 버티자는 것 것 같다고 해석했습니다. <br> <br>이민찬 기자입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자유한국당 등 야당은 공공기관에 임직원의 친인척 현황 자료를 요구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최근 비정규직에서 정규직으로 전환된 직원 중에 불공정한 고용 세습이 있었는지 확인하겠다는 겁니다. <br><br>공공기관은 소송을 진행 중이거나 국가 안보에 위해를 가하는 내용이 아니라면 국회증언감정법에 따라 국회의 요구 자료를 제출해야 합니다. <br><br>하지만 일부 공공기관들은 좀처럼 자료를 보내지 않고 있습니다. <br> <br>[야당 의원 보좌관] <br>"최대한 버텨보자 이런 생각들 다른 기관들 다 하고 있을 거예요. 방침이 내려갔을 수도 있고…" <br> <br>오는 29일 국정감사가 끝나는 만큼 공공기관이 버티기에 나섰다는 설명입니다. <br> <br>자료 제출 담당자들은 "조사하고 있다"는 말만 되풀이합니다. <br> <br>[공공기관 관계자] <br>"전수조사라는 것은 전 직원한테 다 돌려야 하는 거잖아요. 직원들이 답할 의무도 없고요." <br> <br>한 공공기관은 자료 제출과 관련해 최근 긴급 대책회의까지 열었던 것으로 전해졌습니다. <br> <br>[야당 의원 보좌관] <br>"(공공기관장 자리가) 달려 있는 문제도 있고 하니까. 피하는 경우가 많다고 봐야죠." <br> <br>고용 세습 논란이 불거진 서울교통공사는 최근 내부 입단속에 나섰다가 야당의 비판을 받았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이민찬입니다. <br>leemin@donga.com <br> <br>영상취재 : 이승훈 <br>영상편집 : 조성빈 <br>그래픽 : 임 솔