저출산 문제가 더욱 심각한 상황으로 치닫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 8월에는 8월 기준으로 3만 명 벽마저 무너졌습니다. <br /> <br />결혼도 감소 추세라 전망이 더욱 어두워 보입니다. <br /> <br />조태현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 <br />"덮어놓고 낳다 보면 거지꼴을 못 면한다." <br /> <br />지난 1955년 한 해 출생아는 사상 처음으로 90만 명을 넘어섰습니다. <br /> <br />이른바 '베이비붐'의 시작입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1971년 마지막으로 100만 명대를 기록한 뒤, 출생아 수는 급격히 감소하기 시작했습니다. <br /> <br />2001년에는 초저출산 국가에 이름을 올리고 말았고, 지난해에는 마지노선이라던 40만 명 아래까지 추락했습니다. <br /> <br />산부인과 병원 폐업에 대형 여성 병원의 적자까지 이어질 정도로 심각한 상황! <br /> <br />지난 8월에는 아예 출생아 수가 3만 명 밑으로 떨어졌습니다. <br /> <br />출생은 계절적인 영향을 많이 받는데, 8월 기준으로 3만 명을 밑돈 건 1981년 통계 작성 이후 처음입니다. <br />전년 같은 기간과 비교한 감소세는 무려 33개월 연속 이어졌습니다. <br /> <br />[김 진 / 통계청 인구동향과장 : 30살에서 34살 여성 인구가 전년 동원보다 4.8% 감소했고, 혼인 건수 감소와 혼인·출산 연령이 증가한 영향으로 보입니다.] <br /> <br />문제는 전망도 밝지 않다는 점입니다. <br /> <br />8월 사망자 수가 8월 기준으로 역대 최다를 기록한 반면, 8월 결혼은 지난 2003년 8월 이후 15년 만에 가장 적은 수준에 그쳤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고령화의 영향으로 사망자는 늘었지만, 결혼은 이에 따라가지 못한 겁니다. <br /> <br />따라서 주거와 보육 등 청년이 안심하고 결혼할 수 있는 환경부터 만드는 정책적인 노력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YTN 조태현[choth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1810242240507510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