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북한군 실무자들이 서해상 NLL을 인정하지 않고 있다고 정경두 국방장관이 밝혔습니다. <br> <br>김정은 위원장은 NLL을 인정했지만, 북한 군 실무자들은 그렇지 않다는 겁니다. <br> <br>북한 체제특성상 이게 가능한 설명일까요. <br> <br>김철웅 기자입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문재인 대통령은 북한이 NLL을 인정한 게 이번 군사합의의 큰 성과라고 강조했습니다. <br> <br>그런데 국방부 장관의 설명은 다릅니다. <br> <br>[정경두 / 국방부 장관] <br>"(북한군) 실무자들은 아직까지 거기까지는 다 동의를 안 하고. 서로 아직 완전하게 그런 부분이 해결되지 않은…" <br> <br>북한은 여전히 자신들의 '경비계선'을 주장하고 있다는 겁니다. <br> <br>야당은 군사합의 이후인 최근까지도 북한의 NLL 무력화 시도가 계속되고 있다고 비판합니다. <br> <br>[정종섭 / 자유한국당 의원] <br>"올해 1월 1일 이후로 지금까지 한 500여 차례 우리에게 항의를 했어요." <br> <br>질타가 계속되자 국방부 장관은 피로 지킨 영토라며 NLL을 사수를 강조하고 나섰습니다. <br> <br>[정경두 / 국방부 장관] <br>"(NLL은) 우리 영토, 영해의 개념이 그대로 적용되는 겁니다." <br> <br>북한 실무자들이 NLL을 인정하지 않고 있다는 국방부 장관의 답변과 관련해 국방부가 추가 설명을 내놨습니다. <br> <br>"북한이 군부 내부 불만을 의도적으로 노출시켜 앞으로 협상을 유리하게 이끌려는 의도라는 겁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김철웅입니다. <br> <br>영상취재 : 채희재 <br>영상편집 : 오성규