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문제의 김 교수는 그 아들이 중학교 1학년일 때도 아들을 논문의 공동 저자로 만들었습니다. <br> <br>교육부는 최근 전수 조사를 통해 뒤늦게나마 의심스런 정황들을 찾아냈습니다. <br> <br>이어서 성혜란 기자입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 <br>유럽에서의 한류 현상을 중심으로 경제적 효과와 의미를 분석한 논문입니다. <br> <br>2011년 8월 발간돼 유명 학술대회 논문집에도 실렸는데, 제3저자에 미성년자의 이름이 올라가 있습니다. <br> <br>제1저자인 성균관대 김모 교수의 아들로, 당시 중학교 1학년 학생이었습니다. <br> <br>자녀의 대입을 위해 장기간에 걸쳐 '저자 끼워 넣기'를 실행해온 정황이 담긴 대목입니다. <br> <br>해당 사실은 7년 동안 알려지지 않았지만, 교육부가 '미성년자 자녀 공동 저자'를 전수조사하며서 확인됐습니다. <br> <br>자녀의 대입 자기소개서 등에 논문 실적을 활용하려 한 의심 사례로 꼽혔습니다. <br><br>[교육부 관계자] <br>"연구윤리 확립 차원에서 진행하고 있는 것이고요, 미성년의 경우 활용 가능성이 있으니 (대학에) 확인을 (하도록) 하고 있죠." <br> <br>성균관대는 김 교수를 윤리위원회에 회부해 심의 중이라고 밝혔습니다. <br> <br>다만, 사전 검증은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손사래칩니다. <br> <br>[성균관대 관계자] <br>"정말 기여를 했는지 안 했는지 알기 어려운 부분이거든요. 공동저자가 누구로 나왔는지 다 검증 못해요." <br> <br>자녀 끼워넣기를 통한 입시 부정을 막기 위해서라도 저자 표시 기준을 표준화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옵니다. <br> <br>채널A뉴스 성혜란입니다. <br> <br>성혜란 기자 saint@donga.com <br>영상취재 조세권 <br>영상편집 박주연