남북이 서해 최전방 NLL 일대에서 불법 조업하는 중국 어선에 대한 정보 교환을 10년 만에 재개했습니다. <br /> <br />해상에서 우발적인 무력 충돌을 막고 군사적 신뢰를 쌓기 위한 조치로 향후 남북 공동 어로와 평화수역 조성의 밑거름이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. <br /> <br />강정규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지난 2004년 6월 4일, 설악산에서 열린 제2차 장성급 군사회담, <br /> <br />남북은 서해 NLL 일대 중국 어선의 불법 조업 현황에 대한 정보를 교환하기로 합의했습니다. <br /> <br />단속 과정에서 우발 충돌을 막기 위해 남북 경비정이 국제상선공통망을 통해 수시로 교신하는 체제도 갖췄습니다. <br /> <br />[남북 해군 시험 통신 (2004년) : 백두산2 백두산2 여기는 한라산2 본국 감도는 어떤가? (한라산2 한라산2 나는 백두산2 감도 다섯) 백두산2 귀국의 감도는 넷이다. 채널을 12번으로 돌리자. (알았다.)] <br /> <br />그러나 2008년 5월, 정권이 바뀌고 남북관계가 나빠지면서 서해 군 통신선이 끊겨 버렸습니다. <br /> <br />급기야 이듬해 11월엔 북측 경비정이 중국 어선을 단속하는 과정에서 남북 간 해상 교전이 벌어지기도 했습니다. <br /> <br />[이기식 / 합참 정보작전처장 (2009년) : 북한 경비정이 먼저 NLL를 침범하고 이에 대해 경고하는 과정에서….] <br /> <br />[北 조선중앙 TV (2009년) : 그 무엇으로도 변명할 수 없는 의도적이며 노골적인 군사적 도발 행위이다.] <br /> <br />이후 천안함 폭침과 연평도 포격 도발 등을 거치며 서해 최전방은 한반도의 화약고가 됐습니다. <br /> <br />오랜 대결을 끝내기 위해 남북이 적대 행위 중단 조치에 들어간 이튿날, 중국 불법 조업 어선에 대한 정보 교환이 재개됐습니다. <br /> <br />국방부는 이번 조치가 지난 7월 국제상선공통망 복원과 함께 2004년 6.4 합의를 10여년 만에 되살린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. <br /> <br />[문성묵 / 한국국가전략연구원 통일전략센터장 : 지금은 정보 교환 수준이지만 앞으로 공동 어로를 하게 되고 / 불법으로 들어오는 중국어선이 있다면 공동으로 퇴치하면 되겠죠.] <br /> <br />남북이 과거 실현하지 못했던 공동 어로와 평화 수역 조성까지 이뤄낼 경우 군사 긴장 완화는 물론 어업 생산량 증대에도 보탬이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. <br /> <br />YTN 강정규[live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1811021847186582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