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전반기 국정에 대한 평가와 향후 미 국내외 정치 지형의 밑그림이 될 중간선거 투표가 시작됐습니다. <br /> <br />상원은 공화당이 수성, 하원은 민주당이 탈환이라는 전망이 우세한 가운데, 20년 만에 미 하원 문을 두드리는 한국계 후보들의 선거 결과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LA 김기봉 특파원의 보도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임기 6년인 연방 상원의원의 1/3에 해당하는 35명과 임기 2년의 하원의원 435명 전원, 그리고 50개 주 가운데 36명의 주지사를 새로 뽑는 미 중간선거. <br /> <br />동부 버몬트 주에서 시작된 투표는 우리 시각 내일 오후 1시 하와이에서 마지막 투표가 종료됩니다. <br /> <br />의회와 지방 정부의 수장을 뽑는 선거지만 트럼프 대통령의 말대로, 본인에 대한 심판의 성격이 짙습니다. <br /> <br />[도널드 트럼프 / 美 대통령 : 투표 용지에 내 이름은 없지만, 나는 투표용지에 있어요. 따라서 이번 선거는 나에 대한 국민투표이며, 아울러 (야당이) 만들어놓은 고약한 (국정운영의) 교착상태에 대한 심판입니다.] <br /> <br />친 트럼프와 반 트럼프가 팽팽히 대립하는 미 국내 상황에서 이번 선거 결과에 따라 향후 정치 지형이 크게 바뀔 것으로 보이는데, 우선 상원은 공화당이 수성할 것이라는 전망이 유력합니다. <br /> <br />선거가 치러지는 35곳 중 26곳이 현역 민주당 지역구여서, 공화당은 한 곳을 더 뺏겨 8곳만 승리한다 해도 다수당 지위를 누릴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공화당이 한 석을 뺏길 경우 50대 50 동석이 되지만, 공화당인 부통령이 '캐스팅 보트'를 행사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하원에서는 민주당 지지율이 여전히 높은 가운데 최근 격전지 9곳이 대체로 경합 또는 민주당으로 기울었다는 여론조사가 나와, 8년 만에 민주당의 탈환 가능성이 높게 전망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또한 김창준 의원 이후 20년 만에 한국계 연방하원 의원이 탄생하느냐도, 한인을 비롯한 미 국내 소수민족 사회의 중요한 관심사입니다. <br /> <br />캘리포니아에서 공화당 후보로 본선에 오른 영 김과 뉴저지에서 민주당으로 출마한 앤디 김, 두 후보 모두 상대와 초박빙 승률이 예상돼 겹경사의 기대도 가져볼 만한 상황입니다. <br /> <br />LA에서 YTN 김기봉[kgb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1811061906076843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