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'국군기무사령부가 계엄령을 몰래 준비했다.'<br><br>이런 주장이 사실인지를 가리는 수사가 큰 결과 없이 넉 달 만에 중단됐지요.<br><br>여야가 청문회를 열기로 했습니다.<br><br>한 목소리를 내긴 했지만, 셈법은 전혀 다릅니다.<br><br>김철웅 기자의 보도입니다.<br><br>[기사내용]<br>지난해 3월 박근혜 전 대통령의 탄핵 선고를 앞두고 군이 계엄령을 선포하려 했다는 기무사 문건 의혹.<br><br>군·검 합동수사단이 조현천 전 기무사령관 미국 도피 등을 이유로 출범 104일 만에 수사를 중단하자 국회가 나섰습니다.<br><br>[현장음]<br>"악수 한 번 하시죠."<br><br>여야는 청문회를 열어 실체를 밝히겠다고 뜻을 모았지만, 속내는 다릅니다.<br><br>민주당은 박근혜 정부 청와대가 직접 개입했을 가능성을 파헤치겠다고 나섰고 <br><br>[박경미 / 더불어민주당 원내대변인]<br>"(계엄 문건) 그 배후의 실체는 무엇인지, 청문회를 통해 한 점 의혹도 없이 낱낱이 밝혀져야 할 것입니다."<br><br>자유한국당은 문건 유출 경위를 파헤쳐 실체 없는 사건을 현 정부가 이용했다는 점을 밝히겠다는 겁니다.<br><br>[김성태 / 자유한국당 원내대표]<br>"들쑤셔놓은 결과가 '허위공문서 작성'이라니 허위 내란 음모 논란이야말로 심각한 국기 문란에 군기 문란이 아닐 수 없다."<br><br>청문회 대상과 시기에 대해선 추가 논의하기로 해 청문회 실시까지는 시간이 걸릴 전망입니다.<br><br>채널 A 뉴스 김철웅입니다.<br><br>영상취재 : 이준희 채희재 <br>영상편집 : 오영롱