9·13 대책과 강력한 대출 규제 등으로 서울 아파트 가격이 1년 2개월 만에 상승세를 멈췄습니다. <br /> <br />서울 강남 3구에 이어 개발 호재 지역에도 거래가 뚝 끊겨 관망세가 이어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김현우 기자가 취재했습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서울 용산의 한 아파트 단지입니다. <br /> <br />전용면적 59㎡의 호가가 한때 14억 원까지 올랐다가 최근에는 12억 원대까지 떨어졌습니다. <br /> <br />용산공원 조성과 국제업무지구에 대한 기대감이 맞물려 아파트값 상승을 이끌었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9·13 부동산 대책 발표 이후 고강도 대출 규제까지 나오면서 거래가 뚝 끊겼습니다. <br /> <br />[정용익 / 서울 용산구 소재 공인중개사 : 매도자분들도 계속 모니터링 하고 있는 상태고, 심지어 세금 부분도 계속 맞물리기 때문에 가면 갈수록 매물은 점점 없어지지 않을까? 줄어들지 않을까? 보고 있어요.] <br /> <br />각종 부동산 규제에 대한 불안과 개발 호재에 대한 기대감이 혼재되면서 서울 대부분 지역이 관망세로 돌아섰습니다. <br /> <br />이번 주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보합세로 전환했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해 9월 둘째 주에 상승 전환한 이후 무려 60주 만에 보합세로 돌아선 겁니다. <br /> <br />재건축 단지를 중심으로 하락 세가 확산한 강남 3구를 포함해 강남권 11개 구의 하락 폭이 커졌습니다. <br /> <br />강북권 14개 구는 0.04% 상승에서 0.03%로 오름폭이 둔화했습니다. <br /> <br />전문가들은 서울 지역을 중심으로 아파트 거래 감소가 이어지고 가격도 보합이나 감소하는 곳이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. <br /> <br />[박원갑 / KB국민은행 부동산 수석전문위원 : 강남 아파트가 먼저 하락한 뒤에 인근 지역으로 물결처럼 번지는 상황이고요. 이런 추세라면 통계적으로도 서울 아파트 가격이 곧 약세로 진입할 것으로 예상됩니다.] <br /> <br />아파트 전세 가격은 서울과 수도권이 각각 0.03%와 0.05% 떨어지면서 하락 폭이 커졌습니다. <br /> <br />YTN 김현우[hmwy12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1811090540038567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