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여러분 안녕하십니까. <br> <br>민주당과 문재인 대통령의 오랜 우군이었던 민노총이 청와대 앞에서 점거시위를 시작했습니다. <br> <br>총파업 전날인 다음주 화요일까지 1주일 동안입니다. <br> <br>민노총은 문재인 정부를 향해 <br> <br>1. 탄력 근로제 확대도 중단하고 2. 비정규직도 철폐하라고 요구했습니다. <br> <br>대통령 당선에 기여했으니 경제살리기보다 자신들의 요구를 먼저 들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. <br> <br>여기서 그치지 않았습니다. <br> <br>민노총은 국회에서도, 또 대검찰청에서도 불법 점거농성을 시도했습니다. <br> <br>첫 소식, 박지혜 기자가 보도합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청와대 앞으로 집결한 민노총 지도부. <br> <br>탄력 근로제 확대 등을 비판하며 목소리를 높입니다. <br> <br>[현장음] <br>"탄력 근로 기간확대, 노동법 개악 중단하라!" <br> <br>붉은 띠를 머리에 두른 김명환 민노총 위원장도 전면에 나섰습니다. <br> <br>[김명환 / 민노총 위원장] <br>"노동자의 목소리에는 점점 더 깊고 넓은 담을 쌓고 있는 것이 지금의 문재인 정부 아닙니까." <br><br>탄력 근무제를 현행 3개월에서 6개월로 확대하는 문재인 정부의 노동 정책 등을 강하게 비판한 겁니다. <br> <br>그러면서 오는 21일 총파업도 예고했습니다. <br> <br>[김명환 / 민노총 위원장] <br>"조직화 되지 못한 2천만 명에 달하는 노동자들의 노조 할 권리와 장시간 노동을 막기 위해서…" <br> <br>최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시위를 벌이고 있는 민노총은 총파업 직전인 20일까지 청와대 앞에서 농성한다는 계획입니다. <br> <br>민노총은 국회에서도 동시다발적으로 농성을 벌였습니다. <br> <br>'비정규직 100인 대표단'은 관련 법안 폐지를 외쳤습니다. <br> <br>[현장음] <br>"비정규직 철폐, 투쟁! 결사 투쟁!" <br> <br>이어 국회 본청 앞에서 플래카드를 펼치고 기습 시위를 벌이려다 제지당했습니다. <br> <br>[민노총 조합원] <br>"이런 것도 못 하느냐고요. 노조법을 제대로 만들려고." <br> <br>지난해 정부 출범 초기 보폭을 맞췄던 문재인 정부와 민노총이 최근 노동 정책 등을 놓고 전면전 양상으로 치닫고 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박지혜입니다. <br><br>sopia@donga.com <br>영상취재 : 채희재 추진엽 <br>영상편집 : 김태균 <br>그래픽 : 박재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