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1700년 전 서울에 있던 도로는 어떤 모습이었을까요. <br> <br>백제 몽촌토성 발굴 작업 중에 과학적인 도시 계획의 흔적이 나왔습니다. <br> <br>이현용 기자가 취재했습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5년째 발굴작업이 진행 중인 한성백제의 유적 '몽촌토성'입니다. <br> <br>1700여 년 전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는 토성 내부에서 오늘날의 로터리와 비슷한 형태의 '회전교차로'가 발견됐습니다. <br><br>격자 모양의 교차로를 중심으로, 사람과 물류가 동서남북으로 통하는 도로망. <br> <br>고대 유적에서 교차로 형태의 도로가 발견된 건 이번이 처음입니다. <br><br>교차로를 지나 중심지로 들어가는 길은 노면 폭이 무려 10m에 달합니다. <br> <br>지갈과 점토를 섞어 25~50cm 높이로 단단히 다진 포장도로. <br> <br>오늘날, 인도를 포함한 왕복 2차선 도로의 폭과 같습니다. <br> <br>백제가 치밀한 도시계획을 세워 도로망을 구축했다는 얘기입니다. <br> <br>[이인숙 / 한성백제박물관장] <br>"도로가 회전하는 양상을 보입니다. '회전도로'라고 이름을 붙였습니다만, 이런 시설과 구조가 파악된 건 처음이지 않을까." <br> <br>회전교차로 안쪽 공간에는 당시 물을 모아두었던 사방 14m 규모의 대형 집수지가 확인됐습니다. <br> <br>도로망을 바탕으로 한성백제가 주변국과 활발히 교류한 것을 보여주는 증거로, 고구려와 가야 토기는 물론, 중국 청자와 일본 접시 등의 유물도 발견됐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이현용입니다. <br> <br>hy2@donga.com <br>영상취재: 김기열 김영수 <br>영상편집: 민병석 <br>그래픽: 김승훈