P2P 대출이라는 금융 상품 들어보셨나요? <br /> <br />금융기관 대신 인터넷을 통해 차입자와 투자자가 거래하는 형태인데요, <br /> <br />허위 담보로 투자자를 모은 뒤 돈만 갖고 잠적하는 식의 사기가 많은 것으로 파악돼 금융 당국이 수사를 의뢰했습니다. <br /> <br />조태현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경찰서에 사람들이 모여 웅성거립니다. <br /> <br />한 업체가 부동산을 담보로 일반 투자자들에게 고금리 상품을 판매했는데, 도중에 업체 대표가 잠적해 버린 겁니다. <br /> <br />알고 보니 담보마저도 허위였고, 피해 금액은 100억 원이 훌쩍 넘는 것으로 추정됩니다. <br /> <br />[P2P 대출 피해자 : 등본을 위조하고 창고에 동산 담보라고 하는 것도 인터넷에 있는 창고 사진 올려놓고 마치 그게 담보인양…. 담보 자체도 다 거짓인 거죠.] <br /> <br />새로운 형태의 금융 상품인 P2P 대출의 피해자들입니다. <br /> <br />P2P 대출은 인터넷 업체를 통해 차입자가 투자자에게 직접 돈을 빌리는 금융 상품을 말하는데, 자영업자나 소상공인도 비교적 낮은 금리로 자금을 마련할 수 있고, 저금리 시대를 맞은 투자자에겐 새로운 상품으로 관심을 끌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 2000년대 중반부터 시작한 국내 P2P 금융 시장의 규모는 4조 원을 넘어설 정도로 성장했습니다. <br /> <br />특히 신용대출보다는 사회간접자본이나 부동산 개발 등과 연계한 프로젝트 파이낸싱 담보 대출이 성장의 중심이었습니다. <br /> <br />문제는 성장 과정에서 잡음이 불거지고 있다는 점입니다. <br /> <br />실제로 금융 당국이 올해 P2P 대출 취급 실태를 점검한 결과, 사기나 횡령 혐의가 포착된 곳만 20개 회사에 달하고, 피해 금액은 최소 천억 원 이상인 것으로 추산돼 수사를 의뢰했습니다. <br /> <br />허위 부동산 사업장이나, 허위 물건 등을 담보로 내세운 경우가 상당수를 차지했는데, 관련법조차 마련되지 않은 상태입니다. <br /> <br />[윤창의 / 금융감독원 부원장보 : P2P 업체를 직접 규율하는 법률을 조속히 마련하도록 금융위원회 등 유관기관과 적극적으로 협의할 것이며, 법률 제정 이전이라도 P2P 연계대부업자에 대한 검사를 지속적이고 강도 높게 실시하겠습니다.] <br /> <br />P2P 대출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선 우선 금융당국에 등록한 합법 업체인지 확인하고, 충분한 직원을 통한 심사능력을 갖춘 곳인지도 점검할 필요가 있습니다. <br /> <br />또, 높은 수익을 제공하는 고금리 상품의 경우 부실 위험이 크거나, 아니면 애초부터 사기일 가능성도 있는 만큼, 무엇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1811191656356176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