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청와대와 여당은 민노총의 총파업에 대해 원칙을 강조했습니다.<br><br>하지만 대화의 여지는 남겨뒀습니다.<br><br>야당은 민노총이 '매머드 권력집단이 됐다'며 비판했습니다.<br><br>이동재 기자의 보도입니다. <br><br>[기사내용]<br>청와대는 별도의 대책 회의 없이 총파업 진행 상황을 지켜보며 대화를 통한 해법 찾기에 나섰습니다.<br><br>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탄력근로제 확대 중단을 요구하는 민노총과의 '거래'는 없을 것이라며 '대화'로 풀겠다는 원칙을 강조했습니다.<br><br>여당인 민주당도 민노총 설득에 주력했습니다.<br><br>[홍영표 /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]<br>"탄력근로기간을 확대해야 된다는 논의가 마치 경영계의 입장만을 반영한다고 생각하는 것도 오해입니다."<br><br>하지만 야당은 "정부의 친노조 정책으로 강성노조가 매머드급 권력집단이 됐다"면서 민노총과 정부를 싸잡아 비판했습니다.<br><br>[김학용 / 국회 환경노동위원장 (자유한국당)]<br>"고액연봉에 고용세습 특권까지 누리는 민주노총의 총파업은 결코 국민의 공감을 받지 못할 것입니다."<br><br>[손학규 / 바른미래당 대표]<br>"국민의 눈높이를 무시하는 주장은 현재의 특권과 특혜를 유지하겠다는 것과 마찬가지입니다."<br><br>정부가 탄력근로제 확대를 제외하고는 노동계의 요구를 대부분 들어줬다는 평가와 맞물려 민노총의 총파업 투쟁이 예상보다 수위가 낮아질거란 전망도 나옵니다.<br><br>채널 A 뉴스 이동재입니다.<br><br>영상취재 : 한규성 이승훈<br>영상편집 : 최동훈