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소득 양극화 11년 만에 최대...저소득층 소득 급감 / YTN

2018-11-23 31 Dailymotion

■ 진행 : 김정아 앵커 <br />■ 출연 : 박성호 경제부 선임기자 <br /> <br /> <br />소득이 적은 계층과 많은 집단 사이의 격차가 11년 만에 최대로 확대됐습니다. 기초연금을 올리고 아동수당도 지급하면서 소득분배가 개선될 것이라는 정부의 기대와는 크게 다른 건데요. <br /> <br />소득주도성장에 대한 논란도 더 커지는 분위기입니다. 경제부 박성호 선임기자 나왔습니다. 어서 오십시오. 우선 저소득층과 고소득층의 소득이 각각 어느 정도인지 비교부터 먼저 해볼까요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가구당 한 달에 얼마의 소득을 올리느냐 그 기준을 볼 때 5개로 나눴을 때, 다섯 구간으로 나눴을 때 맨 밑에 하위 20%의 월평균 소득은 132만 원입니다. 그러면 맨 위에 있는 5분위라고 하는데 상위 20%에 속하는 5분위의 월평균 소득은 974만 원입니다. 그러니까 단순 비교하면 7.4배가 되는 건데 그것이 소득양극화의 지표로 쓰이지는 않지만 어쨌든 하위 20%와 상위 20%를 비교했을 때는 소득 격차가 상당히 심한 건데 그것이 공식적인 지표로 보면 11년 만에 최다가 되는 겁니다. <br /> <br /> <br />지금 그러면 하위, 상위 20% 구간에 있는 가구의 소득을 비교를 해보면 지금 말씀하신 대로 7.4배 정도 차이가 난다고 하셨는데 이게 11년 만이라고 했잖아요. 그러면 글로벌 금융위기 직전 상황 정도 되는 겁니까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정확히 따지면 7.4배가 11년 만은 아니고요. 7.4배는 단순 비교한 거고 그건 산술 평균이고요. 통계청에서 쓰는 공식적인 지표는 이런 걸 씁니다. 왜냐하면 가구당 인원이 다르잖아요. 인원이 다르기 때문에 인원이 다 똑같다고 가정을 하고 통계적인 기법을 사용해서. <br /> <br /> <br />2명이 가구인 경우도 있고 4명인 가구도 있고요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예컨대 2명 살 때 생활비가 200만 원 들 경우에 4명 가구는 반드시 400만 원이 들지 않습니다. 그것보다 좀 적게 드는 게 일반적입니다. 공유하는 게 많으니까. 그래서 그런 기준으로 따질 때는 1분위하고 5분위하고 통계적인 기법을 써서 인원수를 똑같게 만듭니다. 그런 기법을 써서 하면 아까는 7.4배지만 이번에는 5.52배로 숫자가 낮아지게 됩니다. <br /> <br /> <br />그러니까 분배 격차를 평균소득이 아니라 처분가능 소득 기준으로 보면 정도가 조금 완화되는 이런 느낌인 건 맞는데요. 그래도 분명한 건 지금 소득이 낮은 계층의 삶이 점점 더 어려워지고 있다, 이게 지표로 확인되는 건 맞는 거죠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그건 통계에서 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1811231204500968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