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철저한 현지화 전략…동남아 ‘금융 한류’ 현장

2018-11-23 5 Dailymotion

<p></p><br /><br />'강한 금융이 강한 경제 만든다' 연속 기획 마지막 시간입니다. <br> <br>국내 금융회사들이 포화 상태인 안방에서 벗어나 동남아시아에서 새 시장을 개척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금융 한류의 현장에 홍유라 기자가 다녀왔습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 <br>은행 계좌 사용률 30% 신용카드 보급률은 3%에 불과한 나라, 베트남. <br> <br>[쩐탄퐁 / 베트남 호찌민] <br>"월급은 회사나 집 근처의 ATM기를 이용해서 찾고 있습니다." <br> <br>그만큼 금융 시장의 성장 가능성이 커, 국내 은행 10곳이 진출해 있습니다. <br> <br>신한베트남은행은 고객 100만 명을 넘어서며 현지 외국계 은행 가운데 1위입니다. <br> <br>철저한 현지화 전략으로 몸집을 키웠습니다. <br> <br>[찐반부 / 신한베트남은행 본부장] <br>"직원이 약 1500명인데, 베트남 직원 비율이 90% 이상입니다." <br> <br>[레안 / 은행 이용객] <br>"직원들의 일 처리 속도가 빨라요. 많이 기다릴 필요가 없는 게 장점입니다." <br> <br>[홍유라 기자] <br>"베트남과 캄보디아는 인구 평균 연령이 30대 안팎의 젊은 나라로, 휴대전화 보급률이 상당히 높은데요. 한국 금융사들은 이런 특성에 맞춰 모바일 플랫폼을 적극 활용하고 있습니다." <br> <br>캄보디아 곳곳의 커피숍에서는 KB국민은행의 모바일 결제서비스로 간편하게 계산할 수 있습니다. <br> <br>[니카 / 모바일 결제 서비스 이용자] <br>"일주일에 3~4번 정도 사용하고요. 카페에서 주로 사용합니다." <br> <br>130개 금융사가 경쟁하고 있는 캄보디아에서, 핀테크 기술은 가장 큰 경쟁력입니다. <br> <br>[박용진 / KB캄보디아은행 법인장] <br>"(애플리케이션 출시) 2년이 곧 돼가는데 현재까지 8만 명 정도가 가입했습니다." <br> <br>연평균 6% 안팎으로 성장하는 동남아시아에서 금융 한류가 빛을 발하고 있습니다. <br><br>프놈펜에서 채널 A 뉴스 홍유라입니다. <br> <br>홍유라 기자 yura@donga.com <br>영상취재 : 정기섭 <br>영상편집 : 이혜진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