정부는 지난해 '국가가 치매를 책임지겠다'고 선언했습니다. <br /> <br />그만큼 치매는 사회적 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인데요. <br /> <br />아시아인이 유난히 많이 걸리는 치매를 극복하기 위해 학자들이 머리를 맞댔습니다. <br /> <br />김범환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병원에서 자기 공명 영상 촬영이 한창입니다. <br /> <br />언제쯤 치매에 걸릴 수 있는지를 미리 알아보기 위해 자료를 모으는 겁니다. <br /> <br />[이건호 / 조선대학교 치매 국책연구단 단장 : 지금까지 가장 큰 성과라고 하면 우리나라 지역민을 대상으로 5천 명 이상의 치매 관련 빅 데이터를 확보한 것이고 그걸 기반으로 해서 우리 한국인 노인 뇌지도를 만들었습니다.] <br /> <br />세계 치매 환자 가운데 아시아인이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것으로 추산됩니다. <br /> <br />이에 따라 유전적 배경이 비슷한 우리나라와 중국, 일본 학자들이 치매를 극복하기 위해 함께 노력할 것을 선언했습니다. <br /> <br />학자들은 앞으로 10년 안에 70대 이상 치매 발병률을 현재의 절반 아래로 낮추는 것을 목표로 삼았습니다. <br /> <br />[지안핑 지아/ 중국 치매 학회 회장 : 유전학적 관점에서 보면 중국인과 한국인, 일본인들은 매우 비슷합니다.] <br /> <br />또 치매 연구를 서양인에서 아시아인 중심으로 옮기고 세계적 치매 연구도 주도하기로 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를 위해 임상과 빅데이터 분석 기술을 활용해 저비용 고효율의 치매 극복 기술 개발에 나설 예정입니다. <br /> <br />[다케시 이케우치 / 일본 니가타대학교 뇌과학연구소장 : 고령 인구가 급속하게 늘고 있으므로 우리는 치매 문제를 해결하는 단서를 찾을 필요가 있습니다.] <br /> <br />인류, 특히 아시아인에게 재앙으로 다가오고 있는 치매를 극복하기 위한 포럼에는 2백여 명이 참가해 성황을 이뤘습니다. <br /> <br />[김상윤 / 2018 아시안 치매 포럼 대회장 : 이런 모임을 통해서 여러 분야에서 같이 모여서 새로운 치매 해결 방법을 찾자는 데 아주 중요한 의의가 있다고 생각합니다.] <br /> <br />세계적으로 추산되는 치매 관련 비용은 한해 1,100조 원 정도. <br /> <br />아시안 치매 포럼은 그동안 서양 중심으로 이뤄져 온 치매 연구의 한계를 극복하고 아시아인에게 최적화된 진단과 예방, 치료 기술을 제시하는 좋은 장이 됐습니다. <br /> <br />YTN 김범환[kimbh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15_201811240222373960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