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사고에 속수무책…비상시 ‘통신망 공유’ 시급

2018-11-25 1 Dailymotion

<p></p><br /><br />화재가 난 통신구는 서울시내 5개 자치구의 일상을 책임지고 있었습니다.<br><br>이렇게 중요한 시설인 만큼 화재나 침수에 대비해 우회 연결망을 잘 만들었을 줄 알았는데 그렇지 않았습니다.<br><br>안건우 기자가 실상을 취재했습니다.<br><br>[기사내용]<br>화재가 발생한 KT 아현지사가 통신신호를 수신·전송하는 지역은 넓습니다.<br><br>서울 중구와 용산구, 서대문구, 마포구, 은평구 너머 경기 고양시 일부까지 영향을 받습니다.<br><br>지난 2014년 KT가 효율성을 높이고 경쟁력을 강화한다며 전국 236개 지사를 56개로 통합했고 관할 구역도 자연스레 넓어졌기 때문입니다.<br><br>화재 같은 비상 상황이 발생하면 별도의 회선을 활용하는 체계를 비슷한 성격의 모든 시설에 적용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는 이유입니다.<br><br>하지만 모든 지사에 비상 회선을 추가한다면 기업 부담이 늘어날 수밖에 없습니다.<br><br>때문에 대체 시설인 백업체계는 중요시설이나 규모가 훨씬 큰 지사에만 적용돼왔습니다.<br><br>[오성목 / KT 사장]<br>"사실 백업한다는 건 굉장히 통신국으로 많은 투자가 수반이 되고 그래서 그 부분은 아직 저희가 만들지 못했습니다."<br> <br>국내 이동통신 3사는 각자 통신구를 운영하고 있습니다.<br><br>하지만 비상 상황에서는 서로 공유할 수 있는 시스템을 서둘러 갖춰야 시민 피해를 줄일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.<br><br>KT는 "비상사태 시 경쟁사와 망을 공유하는 방안을 정부와 논의하겠다"고 밝혔습니다.<br><br>채널A뉴스 안건우입니다.<br><br>srv1954@donga.com<br>영상취재: 김재평 정기섭<br>영상편집: 손진석<br>그래픽: 성정우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