이번 KT 화재로 인한 통신 대란을 계기로 정부가 각종 통신선이 지나가는 지하 통신구를 모두 점검하기로 했습니다. <br /> <br />또 500m 미만 짧은 통신구에도 CCTV와 스프링클러 설치가 추진됩니다. <br /> <br />김평정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주말 오전에 발생한 KT 아현지사 화재는 서울의 5분의 1 지역을 사실상 마비 상태로 몰아넣었습니다. <br /> <br />건물 지하 1층 통신구는 1차 감식에서 전체 길이의 절반인 79m가 탄 것으로 드러났습니다. <br /> <br />화재 감지 시설은 있었지만, 스프링클러 같은 진화 시설은 없었습니다. <br /> <br />정부는 통신 3사 CEO를 긴급 소집해 대책 회의를 열었습니다. <br /> <br />주무 부처의 과기부 장관도 정부 책임을 인정하며 고개를 숙였습니다. <br /> <br />우선, 500m 미만의 통신구에도 CCTV와 스프링클러를 설치하는 방안을 추진하기로 했습니다. <br /> <br />현행법은 길이 500m 이상 통신구만 스프링클러와 CCTV 같은 화재 방지시설 설치가 의무화돼 있습니다. <br /> <br />[유영민 /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: 사고를 감지하고 예측하고 또 적극적으로 그 부분에 대해서 스프링클러나 여러 가지 소방장비들이 준비돼야 하고….] <br /> <br />부랴부랴 전국의 모든 통신구도 점검하기로 했습니다. <br /> <br />정부가 정기점검해온 A에서 C급 통신시설 말고도 통신사가 자체 점검하는 D급 통신시설 835곳도 이번 점검 대상에 포함하는 것도 추진됩니다. <br /> <br />정부는 또 3개 통신사와 함께 특별팀을 꾸려 현실에 맞게 통신시설 등급을 재조정하는 것도 논의할 계획입니다. <br /> <br />[장석영 /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정보통신정책실장 : 사고 유형별로 사고 발생 시 어떤 피해가 일어날 수 있고 이런 피해에 대해서 어떻게 대응하는 것이 바람직한지에 대해서 전문가들의 의견을 구하기로 했습니다.] <br /> <br />또 사고 대응법 개선과 유사시 망 공동사용 등도 논의해 연말까지 대책을 내놓기로 했습니다. <br /> <br />YTN 김평정[pyung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1811262003152318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