이번 주초 개최가 주목됐던 북미 고위급 회담은 사실상 무산되는 분위기입니다. <br /> <br />2차 북미정상회담 등의 시간표도 잇따라 지연될 가능성이 나오는데 이번 주 후반 G20 정상회의에서 북핵 외교에 돌파구가 마련될지 주목됩니다. <br /> <br />워싱턴에서 김희준 특파원이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미국이 이번 주 초반으로 제안한 뉴욕 북미 고위급 회담이 사실상 물 건너갔습니다. <br /> <br />트럼프 대통령을 수행해 G20 정상회의에 참석하는 폼페이오 장관의 일정을 고려하면 늦어도 28일엔 회담이 열려야 하지만, <br /> <br />김영철 북한 노동당 부위원장 일행이 뉴욕행을 위해 베이징에 도착했다는 소식은 아직 없습니다. <br /> <br />제재완화와 비핵화 조치를 둘러싼 북미의 신경전이 좀처럼 풀리지 않는 것으로 관측됩니다. <br /> <br />북미고위급 회담은 이제 다음 달을 내다봐야 하는 상황인데, 의제와 실무준비 기간을 고려하면 내년 1월 2차 북미정상회담을 장담하기는 어렵습니다. <br /> <br />따라서 종전선언과 김정은 위원장의 서울 답방 시간표도 줄줄이 미뤄질 가능성이 제기됩니다. <br /> <br />이런 가운데 오는 30일부터 아르헨티나에서 열리는 G20 정상회의가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를 촉진할 분수령이 될 전망입니다. <br /> <br />우선 미중, 미러 정상회담에서 나올 한반도 관련 합의와 대북 메시지에 관심이 쏠립니다. <br /> <br />특히 미중 양국이 무역 갈등을 해소하고 북핵 공조를 강화하면 북한을 움직일 긍정적인 신호가 될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이와 함께 문재인 대통령과 트럼프 대통령의 정상회담이 이뤄진다면, 우리 정부의 중재를 통해 북미 비핵화 협상의 동력이 살아날지 주목됩니다. <br /> <br />미국의 '철도' 제재면제 등의 손짓에도 불구하고 북미회담에 선뜻 나서고 있지 않은 북한은 G20 정상회의 결과도 주시하며 향후 행보를 계산할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워싱턴에서 YTN 김희준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1811270755331012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