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예산 심사로 국회가 이틀째 파행되고 있습니다. <br> <br>야당은 유류세 인하 등으로 내년 세수가 4조 원 가량 빈다며 대책을 요구하고 있고 여당은 올해 더 거둔 세금이나 국채 발행으로 메울 수 있다며 맞서고 있습니다. <br> <br>황수현 기자입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여야 예결위 간사가 모였지만 내년 예산안 심사는 이틀째 파행됐습니다. <br> <br>[장제원 / 자유한국당 예결위 간사] <br>"오늘도 대책 안 가져왔어요. 무슨 회의를 합니까!" <br> <br>[안상수 / 국회 예결위 위원장] <br>"그래도 조금 앉아서 얘기를 서로 하고 가야지…" <br><br>정부는 내년에 들어올 세금을 바탕으로 470조 예산안을 짰는데 뚜껑을 열어보니 애초 계산보다 세수 4조 원이 비는 겁니다.<br><br>지난 8월 예산안이 국무회의에 의결된 뒤 유류세 인하 같은 추가 조치가 이뤄지면서 들어올 세금이 줄어든 겁니다.<br> <br>자유한국당은 정부가 예산안을 새로 제출하거나 비는 세수에 대한 대책을 내놔야 예산 심사를 할 수 있다고 주장합니다. <br> <br>[김성태 / 자유한국당 원내대표] <br>"가정에서 가계부 쓰더라도 수입 지출 면밀히 따져서 (하는데) 나라 살림 4조 원이 구멍 나는 마당에 달랑 종이 한 장으로…" <br> <br>하지만 민주당은 올해 30조 원가량 더 거둔 세금을 활용하거나 국채 발행으로 충분히 메울 수 있다며 예산 심사 정상화를 촉구했습니다. <br> <br>[홍영표 /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] <br>"이제는 인내심의 한계가 왔다고 생각합니다. 일체 추가적 논의는 일단 예산 소위부터 정상화시켜라." <br> <br>예산안 법정 처리 시한이 닷새밖에 남지 않은 가운데 올해도 졸속 심사가 우려됩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황수현입니다. <br>soohyun87@donga.com <br>영상취재: 이준희 <br>영상편집: 오영롱