북한은 만 1년 전 지난해 오늘 새벽 장거리 미사일 화성 15형을 발사한 것을 계기로 핵실험과 미사일 발사 도발을 중단했습니다. <br /> <br />북한의 도발 중단은 한반도 안보 정세 격변을 불러왔지만, 최근 북한과 미국의 협상에서 소강 국면이 길어지면서 일말의 불안감도 가시지 않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왕선택 통일외교 전문기자의 보도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북한은 지난해 11월 29일 새벽 3시 17분, 평양 인근에서 장거리 미사일 화성 15형 발사하고, 국가 핵 무력 완성을 선언했습니다. <br /> <br />[북한 조선중앙TV : 김정은 동지는 새 형의 대륙 간 탄도 로케트 《화성-15》형의 성공적 발사를 지켜보시면서 오늘 비로소 국가 핵 무력 완성의 력사적 대업,로케트 강국 위업이 실현되였다고 긍지 높이 선포하시였다.] <br /> <br />북한이 장거리 미사일 개발에 성공하면서 미국은 대북 제재와 압박을 높였고, 군사적 긴장은 더욱 고조됐습니다. <br /> <br />[니키 헤일리 / 유엔 주재 미국 대사 : 북한이 이처럼 미사일 개발을 계속하고 있기 때문에 김정은 정권을 고립하기 위해 더 많은 노력이 요구됩니다. 그래서 우리는 오늘 모든 나라에 대해 북한과의 모든 관계를 단절할 것을 촉구합니다.] <br /> <br />북한은 그러나 국가 핵 무력 완성을 선언한 이후 핵 실험이나 미사일 발사 등 도발적 행위를 중단하고, 미국과의 핵 담판을 추진한다는 구상을 내비쳤습니다. <br /> <br />실제로 북한은 올해 2월 평창 동계 올림픽 참석을 계기로 대대적인 국면 전환에 나섰고, 이후 남북 정상회담과 북미 정상회담 등 예전에는 상상할 수 없었던 대형 외교 이벤트가 이어졌습니다. <br /> <br />[도널드 트럼프 / 미국 대통령 : 전례가 없는 미국 대통령과 북한 최고 지도자의 최초 정상회담은 진정한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증명하고 있습니다.] <br /> <br />한반도 안보 정세 격변이 시작된 이후 남북 관계에서는 세 차례 정상회담과 군사 합의서 채택 등 긍정적이고 가시적인 변화를 만들어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그러나 비핵화에 초점을 맞춘 미국과 대북 제재 완화를 원하는 북한이 상대방 태도 변화를 요구하면서 북미 협상은 소강 국면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북미 협상이 진전되지 않을 경우 비핵화는 물론 제재 해제도 어려워지고, 한반도 평화 체제 구축이 아니라 지금의 어정쩡한 정체 국면이 장기화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습니다. <br /> <br />북한의 도발 중단 1년을 지나면서 한반도 안보 정세는 상전벽해와 같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1811291510221940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