결혼과 육아 등의 이유로 직장을 그만둔 이른바 '경력 단절' 여성이 4년 만에 다시 증가세로 돌아섰습니다. <br /> <br />출산 휴가 등이 확대되면서 임신과 출산 문제로 일을 그만 두는 경우는 줄었지만, 상대적으로 육아 때문에 직장을 포기하는 여성들은 늘었습니다. <br /> <br />오인석 기자 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50대 초반의 오양경 씨는 지난해 장애인 활동 보조인을 교육하면서 장애인도 소개해주는 회사에 취업했습니다. <br /> <br />사회복지사 자격증도 땄지만, 8년이나 되는 경력 단절 때문에 좀처럼 일자리를 구하기가 쉽지 않았으나 지역지원센터의 도움으로 일을 다시 시작할 수 있었습니다. <br /> <br />무엇보다 세 아이의 어머니로 적지 않은 육아 부담이 재취업을 어렵게 했습니다. <br /> <br />[오양경 / 경기도 부천시 상동 : 아이들에게 매달려야 하니까 당연히 경력단절이 되고 단절되다 보니까 사회에 다시 뛰어들려고 했을 때 정말 경쟁력이 안 돼요. 할 줄 아는 게 없다고 보면 오히려 될 것 같아요. 그래서 취업이 어려운 거죠.] <br /> <br />올해 4월 기준 15살에서 54살 사이 결혼과 육아, 임신·출산 등의 이유로 직장을 그만둔 경력 단절 여성은 1년 전보다 만 5천 명이 늘어난 184만 7천 명으로 나타났습니다. <br /> <br />3년 연속 줄어들던 경력 단절 여성이 다시 증가세로 돌아선 것으로, 기혼여성 5명 가운데 1명은 경력단절 여성으로 집계됐습니다. <br /> <br />1년 전보다 40대 경력단절 여성은 5만 4천 명, 50살에서 54살 사이는 만 3천 명이 증가했습니다. <br /> <br />반면, 15살에서 29살 사이는 6천 명, 30대는 4만 7천 명이 각각 감소했습니다. <br /> <br />경력단절의 주요 이유로는 결혼과 육아, 임신·출산, 가족 돌봄, 자녀교육 순으로 조사됐습니다. <br /> <br />육아 문제로 직장을 포기하는 경우가 1년 전보다 3만 명 이상 늘어난 반면, 임신·출산, 가족 돌봄 때문에 경력을 단절한 경우는 줄었습니다. <br /> <br />특히 경력 단절 여성의 절반에 가까운 48%를 차지하는 30대도 육아 부담이 직장을 그만두는 가장 큰 이유로 나타났습니다. <br /> <br />통계청 관계자는 출산 휴가 등이 확대되면서 임신·출산 때문에 직장을 그만두는 여성들은 줄고 있지만, 육아는 단기간에 끝나지 않아 직장을 포기하는 여성들이 상대적으로 늘어난 것 같다고 분석했습니다. <br /> <br />자녀연령별로는 6살 이하 자녀가 있는 경력 단절 여성이 95만 천명으로 가장 많았고, 직장을 그만둔 시기는 10∼20년 미만이 26%, 5∼10년 미만이 25%로 각각 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1811291819118813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