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일본 정부와 미쓰비시 중공업은 우리 대법원의 판결에 극히 유감이라며 배상 거부 의사를 밝혔습니다. <br> <br>중국인 강제 징용 피해자들에게는 기금을 설립해 화해금을 지급하는 것과 대조됩니다. <br> <br>도쿄에서 김범석 특파원입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이수훈 주일한국대사의 초치는 한 달 새 벌써 세 번째입니다. <br> <br>[이수훈 / 주일한국대사] <br>"일본 정부의 입장을 전달 받았고 우리 정부의 입장도 설명하고 그랬습니다." <br> <br>일본 정부는 이번에도 결과를 수용할 수 없다며 항의했습니다. <br> <br>[스가 요시히데 / 일본 관방장관] <br>"한일 우호협력관계의 법적 기반을 근본적으로 뒤집는 것으로 매우 유감이고 결코 받아들일 수 없습니다." <br> <br>미쓰비시중공업도 성명서를 내고 한일청구권협정으로 이미 해결됐다며 배상 거부 의사를 밝혔습니다. <br> <br>반면 중국 강제 징용 피해자 3천700명에게는 전범 기업이 기금을 마련해 배상할 뜻을 밝혔습니다. <br><br>1972년 중일 국교정상화 당시 중국이 국가 차원의 배상은 포기했지만 개인 청구권은 열어두었다고 인정하는 겁니다. <br> <br>[야노 히데키 / 일한공동행동 사무국장] <br>"한일 간 맺은 외교 협정이지만 일본 정부에선 피해자 입장을 고려하는 것이 완전히 배제돼있다고 생각합니다." <br> <br>한일 정상은 G20 정상회담에 나란히 참석하지만 별도 회담은 없을 전망입니다. <br><br>신일본제철 배상 판결부터 위안부 화해 치유 재단 해산, 미쓰비시 판결까지. 일본의 강한 반발이 이어지는 가운데 한일 관계는 더욱 더 냉랭해지고 있습니다. <br> <br>도쿄에서 채널A 뉴스 김범석입니다. <br>bsism@donga.com <br> <br>영상취재: 박용준 <br>영상편집: <br>그래픽: