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남과 북은 판문점 JSA 남북 구역을 상대방은 물론 외국인일지라도 자유롭게 다니기로 합의한 바 있습니다. <br> <br>바로 '자유왕래' 약속인데 아직 시작하지 못했습니다. 이유를 살펴보니 감시용 CCTV 대수 때문이었습니다. <br> <br>조아라 기자입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9.19 군사합의에 따라 남북은 지난달 JSA내 비무장을 끝냈습니다. <br> <br>남북 경비병들은 권총은 풀고 대신 완장을 차고 근무를 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자유왕래도 곧 이뤄질 것으로 예상됐지만 계속 늦어지고 있습니다. <br> <br>[최현수 / 국방부 대변인] <br>"시간이 조금, 예정보다는 늦어지고 있지만 (연내 JSA 자유왕래) 그것을 목표로 시행을 추진하고 있습니다." <br> <br>남북과 유엔사가 참여하는 3자 실무협의에서 감시를 위한 CCTV 대수를 놓고 이견을 보이고 있기 때문입니다. <br><br>국방부 고위관계자는 "현재 북측 CCTV가 훨씬 많은데 이것을 같은 숫자로 맞추려다 보니 논의가 길어지고 있다"고 설명했습니다.<br> <br>우리 군은 '동등 원칙'에 따라 남북의 CCTV 숫자도 같아야 한다는 입장이지만 북한이 이에 반발하고 있는 겁니다. <br><br>남측 지역이 북측보다 지형이 높고 나무가 많아 북한 입장에선 사각지대가 많고, 북한의 CCTV 성능이 떨어져 우리보단 많은 CCTV를 설치해야 한다는 논리입니다. <br> <br>실제 우리 군은 지난해 오청성의 판문점 귀순 당시 JSA 바깥 지역 서쪽 평야에서부터 가로질러 오는 지프를 미리 포착해 실시간으로 추적하기도 했습니다. <br> <br>북한은 또 JSA 공동관리기구에서 유엔사는 빠지란 요구도 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조아라입니다. <br> <br>likeit@donga.com <br>영상취재: 조승현 <br>영상편집: 김민정 <br>그래픽: 김태현