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'가짜 메일' 사건, 정치부 유승진 기자와 이야기 이어가보겠습니다. <br><br>1. 정작 사칭을 당하는 당사자들도 곤혹스럽긴 마찬가질텐데요. 문정인 특보는 이 사건을 어떻게 대응하고 있다고 합니까? <br><br> <br>문 특보는 채널A와의 통화에서, "대비책도 없다"며, "메일을 받은 사람들이 연락이 오면 지우라고 하는 수밖엔 없다"고 어려움을 토로했습니다.<br> <br>일일이 전화가 오면 아니라고 알려주는 방법 밖엔 없는 겁니다. <br><br>2. 외교안보 인사들을 노린 사칭이라면 단순히 돈을 목적으로 하는 범죄보다도 더 심각한 문제 아닙니까? <br> <br>네, 북미회담 이틀 전 외교부 산하 기관인 한국국제교류재단의 A 소장의 이름으로 유포된 메일을 보면요. <br> <br>'보안 주의'라며, 북미 협상상황을 공유한다는 내용인데 "외교부가 북한의 비핵화 의지를 의심하고 있다", "북한이 자발적으로 비핵화를 하도록 둬서는 안 된다" 이런 내용을 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<br> <br>단순히 돈 보다는, 정부의 외교안보 정책의 방향을 흔들면서 또 정보도 캐내려는 목적이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. <br><br>3. 그렇다면 그 메일들, 어디서 어떻게 보낸 건지 소재 파악은 됐습니까? <br> <br>네,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은 윤건영 실장 사칭 메일의 경우 "해외 서버라 추적이 더 진행되지 않았다"라고 말했습니다. <br> <br>일단 청와대는 범인이 더 이상 같은 행동을 못하게 IP를 차단했다고 했지만, 범인이 누구인지는 특정하지 못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4. 단순히 해외 서버라 마냥 손 놓고 있을 수만은 없는 일, 단순히 윤건영 실장이나 문정인 특보만의 일은 아닐 것 같은데요? <br> <br>네, 민감한 외교안보 정보를 다루는 부처, 대표적으로 통일부의 사례를 한번 보겠습니다. <br><br>앞서 본 사례들처럼 통일부 관계자의 계정을 사칭하는 등 이른바 '해킹 메일'로 접수된 건수를 보니, 지난해부터 급증하더니, 올해는 8월까지 집계한 것만 151건에 달합니다. <br><br>5. 보통 어디서 해킹 시도가 들어옵니까? <br><br>지난 5년간 통일부에 해킹을 시도한 IP를 국가별로 살펴봤습니다. 가장 많은 곳, 물론 우리나라였고 그 다음으로는 중국이 가장 많았습니다.<br> <br>과거 북한 소행의 해킹 사례들이 중국에 서버를 두기도 했단 점에서 이번 사건들을 가볍게 봐서만은 안 될 것 같습니다. <br> <br>정치부 유승진 기자였습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