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이자 부담 가중·부동산 냉각 가속 우려 / YTN

2018-11-30 36 Dailymotion

이번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은 경제 전반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저금리의 부작용 해소에는 도움이 되겠지만, 대출자들의 이자 부담 등 부작용도 적지 않을 전망입니다. <br /> <br />김평정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1,500조 원을 넘어선 가계 빚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건 다름 아닌 주택담보대출입니다. <br /> <br />지난 2015년 말 491조 원이었던 주택담보대출 잔액은 증가세를 이어가다 지난 3분기 말에는 595조 원까지 늘었습니다. <br /> <br />정부의 각종 대출 규제에 더해, 기준금리까지 오르면서 주택담보대출은 증가 속도를 줄이거나, 아예 감소하게 될 전망입니다. <br /> <br />문제는 이미 대출을 받은 사람들입니다. <br /> <br />조만간 대출 이자가 오를 것이 뻔하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[이태윤 / 서울 만리동 : 이자를 더 많이 지출할 것으로 예상합니다. 소득은 한정돼 있는데 지출 비용이 더 커지니까 앞으로 더 큰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생각합니다.] <br /> <br />이미 변동형 주택담보대출의 금리 기준이 되는 자금조달비용지수, 코픽스가 3년 만에 최고 수준까지 오른 상황에서, 이번 금리 인상이 코픽스 상승의 또 다른 계기가 될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또, 금리 인상이 안 그래도 나쁜 소비에 악영향을 줄 수 있는 만큼, 이미 한계 상황에 처한 자영업자와 중소기업에는 치명적일 가능성이 있다는 우려도 제기됩니다. <br /> <br />과열 양상을 보였던 부동산 시장은 더욱 움츠러들 가능성이 큽니다. <br /> <br />이미 9·13 대책 등의 영향으로 서울 부동산 거래가 한풀 꺾인 상황에서, 일부 급등 지역을 중심으로는 가격 하락 현상이 나타날 가능성도 있습니다. <br /> <br />[박원갑 / KB국민은행 수석 부동산 전문위원 : 대출 의존도가 높은 상가 등 수익형 부동산뿐만 아니라 실수요 주택까지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어 전반적으로 위축 국면이 더 이어질 것으로 예상합니다.] <br /> <br />반면, 최근 들어 불안정한 모습을 이어갔던 증시에 미칠 영향은 크지 않을 전망입니다. <br /> <br />이번 달 금리 인상이 기정사실로 받아들여지면서 시장에 이미 반영된 데다, 한국은행이 조만간 추가 금리 인상에 나설 가능성도 거의 없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YTN 김평정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1812010009289045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