문재인 대통령이 김정은 위원장의 연내 답방 가능성이 있다고 밝히자 역사적인 첫 서울 남북정상회담의 시기를 놓고 관측이 쏟아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이달 중순부터 내년 초까지 범위도 다양한데 문 대통령은 언제 열리느냐보다 비핵화에 진전을 가져오는 성과가 중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. <br /> <br />신호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문재인 대통령은 이번 순방 기간에 김정은 위원장의 서울 답방을 구체화했습니다. <br /> <br />표현도 가능성이 '열려 있다'에서 가능성이 '있다'로 바뀌었습니다. <br /> <br />[문재인 / 대통령 : 일단 김정은 위원장의 연내 답방은 그냥 가능성이 열려 있다.] <br /> <br />[문재인 / 대통령 : 김정은 위원장의 서울 답방이 연내에 이뤄질 가능성이 있습니다.] <br /> <br />김정은 위원장의 연내 서울 답방이 수면 위로 떠오르면서 얼마 남지 않은 12월을 놓고 언제 올지에 관한 예측이 무성합니다. <br /> <br />이르면 12일부터 14일까지를 답방 기간으로 선택할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이미 서울의 몇몇 호텔과 관람 시설에 대한 사전 예약과 경호 동선 파악이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준비 기간이 너무 촉박하다는 측면에서 18일부터 20일까지가 더 낫다는 분석도 있습니다. <br /> <br />[정세현 / 前 통일부 장관 : 12월 17일이 김정은 위원장의 아버지인 김정일 위원장의 7주기입니다. 그전에는 못 움직일 거고 그 후에 움직일 겁니다.] <br /> <br />아예 연말과 연초를 함께 보내는 기간인 30일부터 내년 1월 1일까지를 답방 기간으로 보는 관측도 있습니다. <br /> <br />국회 연설 등을 고려하면 야당의 반대 때문에 올해는 아예 불가능하다는 전망도 나옵니다. <br /> <br />청와대는 특정 시기를 북한에 제안하지 않았다며 연내든 내년 초든 열려있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답방 기간은 2박 3일일 거라는 전망이 대체로 많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 9월 평양에서처럼 서울에서 하루 제주에서 하루를 보내는 일정이 무난해 보입니다. <br /> <br />결국, 문 대통령이 김정은 위원장의 결단에 달려있다고 말했듯이 남북이 연내 첫 서울정상회담이라는 평양에서의 약속을 재확인하고 시기를 긴밀하게 조율하는 상황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YTN 신호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1812052212514205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