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청와대와 국방부가 남북이 합의한 비행금지구역 설정을 놓고 오락가락 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청와대는 처음에는 엉터리 발표를 내놓았습니다. <br> <br>서해상 NLL 상공에도 설정했다고 발표했지만 사실이 아니었습니다. <br> <br>이후에도 추진한다, 중단한다를 오갔습니다. <br> <br>조아라 기자가 보도입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남북 군사합의 때 발표와 달리 NLL과 한강하구 상공에 대한 비행금지구역 설정이 빠졌다는 채널A 보도가 나가자, <br> <br>[뉴스A (지난달 14일)] <br>"어찌 된 일인지 11월부터 실제 시행된 것은 군의 최초 설명과는 달랐습니다." <br><br>국방부는 "NLL과 한강하구 비행금지구역 확대를 북측과 추가로 논의하겠다"고 해명했습니다.<br> <br>그런데 한 달이 지나 입장을 바꿨습니다. <br><br>국방부 고위 당국자는 "남북 모두 NLL에서 비행하고 있지 않아 비행금지구역을 굳이 설정할 필요가 없다"고 밝혔습니다.<br><br>실제 우리 군은 북한 대공포 사거리를 고려해 평상시 덕적도 위로는 비행하지 않고 있습니다. <br> <br>북한군 역시 항공기 귀순 루트로 사용될 가능성이 높아 비행을 제한하고 있습니다.<br> <br>어차피 비행하지 않는 구역인 만큼 논란을 감수하며 협상을 다시 할 필요가 없다는 겁니다. <br> <br>비행금지구역을 잘못 설정할 경우 서북도서 방어에 위협이 될 수 있고, 국내 여론의 비판도 받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. <br> <br>사려깊지 못한 답변이 비판의 빌미가 되고 있다는 지적입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조아랍니다. <br> <br>영상편집 : 오성규