지난 세기 초부터 1970년대까지, 격변했던 사회만큼이나 변신을 거듭한 여성 한복을 한자리에 모은 전시회가 열렸습니다. <br /> <br />당시 유행을 대표했던 한복을 허성준 기자가 소개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고름 대신 단추가 달린 적삼에, 광택이 없고 까슬까슬한 치마가 눈에 띕니다. <br /> <br />실용성이 뛰어난 데다 인견 등 수입 직물을 사용하면서 1930-40년대 유행을 이끌었습니다. <br /> <br />50년대 시대상을 반영하듯 서구의 모습이 담긴 한복입니다. <br /> <br />저고리 고름을 리본형으로 만들거나 브로치로 여밈을 대신했습니다. <br /> <br />드레스처럼 디자인한 아리랑 치마저고리가 최고의 인기를 누렸습니다. <br /> <br />국립 대구박물관에서 열리고 있는 1900년대 여성 한복 특별전입니다. <br /> <br />[이원진 / 국립대구박물관 학예연구사 : 사실 요즘은 한복이라고 하면 일상생활이 아닌 특별한 날에만 입는 옷으로 기억하는데, 오히려 일상 속에서의 한복의 모습을 보면서 지금과의 연결점을 찾을 수 있는 좋은 자리가 되었으면 합니다.] <br /> <br />독립 만세운동 때 입었던 여학생의 한복 교복, 1950년대 벨벳 치마 등 시대를 대표하는 한복과 소품 150여 점이 전시됐습니다. <br /> <br />세계적인 한복 디자이너 고 이영희 선생이 만든 1950년대 결혼 한복은 그 시절 여성들의 결혼식 사진과 함께 만나볼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특히 조선 시대 대표적 풍속 화가인 김홍도와 신윤복의 작품을 함께 감상하면서 전통과 근대 한복을 비교해 볼 기회도 마련돼 있습니다. <br /> <br />YTN 허성준[hsjk23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15_201812090032503731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