중국기업 화웨이 부회장 체포와 관련해 중국의 반발이 확산하면서 미중 무역 협상에 먹구름이 드리워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백악관은 화웨이 사건은 무역협상과 관계없는 안보 문제라고 선을 그었지만, 중국 정부는 물론 기업들까지 강력히 반발하면서 미·중 협상에 새로운 난제로 떠올랐습니다. <br /> <br />뉴욕에서 김영수 특파원이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래리 커들로 백악관 국가경제위원장은 휴일 아침 폭스뉴스에 출연해 화웨이 부회장 체포와 미·중 무역 협상은 관계가 없다고 강조했습니다. <br /> <br />트럼프 대통령도 시진핑 주석과 정상회담을 한 당일 부회장이 체포된 사실을 몰랐다고 거듭 부인했습니다. <br /> <br />그러면서 화웨이 사건은 안보 문제라 무역협상과 관계가 없다고 주장했습니다. <br /> <br />로버트 라이트하이저 미 무역대표부 대표는 내년 3월 1일이 최종 시한이고 이후 새 관세가 부과될 것이라며 중국을 압박했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중국의 반발은 갈수록 확산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중국 외교부는 주중 미국 대사를 불러 체포 영장 철회를 요구하고 미국의 행동에 따라 추가 조치를 경고했습니다. <br /> <br />환구시보는 캐나다 당국이 부회장을 공항에서 체포해 구치소까지 수갑을 채워 데려갔다며 엄중한 인권침해라고 비난했습니다. <br /> <br />일부 중국 기업은 직원들이 아이폰을 사면 상여금을 깎고 컴퓨터나 차량 등 미국 제품도 사지 않겠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중국의 보복 조치를 우려한 미국 IT 기업 시스코는 직원들에게 중국 여행 자제를 요청하는 메일을 보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 <br /> <br />이런 가운데 미국 연방 검찰이 조만간 중국 해커들의 체포 소식을 발표할 예정이란 보도까지 나와 미·중 협상에 또 다른 악재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뉴욕에서 YTN 김영수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1812100615318232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