■ 진행 : 이광연 앵커 <br />■ 출연 : 김평정 / 경제부 기자 <br /> <br />* 아래 텍스트는 청각장애인 자막 방송 속기록을 바탕으로 작성된 내용이라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. <br /> <br /> <br />김평정 기자와 함께 좀 더 이야기 나눠보도록 하겠습니다. <br /> <br />김 기자, 그러니까 앞에 리포트를 보니까 아들딸 가리지 않고 똑같이 주겠다. 이런 의견이 거의 60%. 60%가 조금 모호하기는 해요. 압도적인 것 같지는 않고 어떻게 해석하고 계세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보통 70~80%는 돼야 압도적으로 많다고 느끼실 텐데 그래도 중요한 부분이 이 비율이 계속 증가하고 있다는 게 중요한 부분입니다. 자녀에게 똑같이 주겠다는 인식이 더 확산하고 있다는 점에 방점을 찍어야 할 것 같은데요. <br /> <br />특히 장남을 우대하겠다는 비율이 9년 전에는 21%나 됐거든요. 그게 이번에는 11%로 거의 절반 가까이 줄었다는 게 의미 있게 봐야 할 것 같고요. <br /> <br />또, 자녀에게 나눠주지 않고 자신을 위해 쓰거나 배우자에게 주겠다는 비율도 9년 전에 9% 정도에 불과하던 것이 17%로 거의 2배 가까이 증가한 것도 눈여겨 볼 지점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그렇군요. 저는 아까 앞서 영상구성 자막 중에 유병 장수시대, 이 말도 눈에 띄더라고요. 그러니까 결국 오래는 살기는 사는데 병을 안고 산다, 이런 의미 아니겠습니까? 의료 기술도 발전하고 약도 좋아지고 이런 배경이 원인이겠죠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그 원인이 가장 큰 것 같습니다. 만성질환이라는 게 흔히 떠올리는 고혈압, 당뇨병, 심장질환 이런 건데 치료 방법이 계속 발전하고 있거든요. <br /> <br />40대만 되도 고혈압약을 매일 먹게 되는 경우가 많은데, 이렇게 완전히 치료할 수는 없어도 약이나 식이요법으로 조절 가능해지는 경우가 점점늘고 있고 또 기대수명이 늘어나는 것도 유병 장수시대에 영향을 주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무병장수가 제일 좋겠습니다마는 현실은 그렇지 않다는 얘기고 그리고 또 한 가지가 출퇴근 시간이 2시간이 넘어가면 만성적인 시간 부족에 시달린다. <br /> <br />같은 직장인으로서 공감이 가는 대목인데 대도시에 살고 있는 직장인이면 또 어쩔 수 없이 겪어야 되는 문제 아닌가 싶기도 하고요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저만 해도 집에서 회사로 오려면 최소한 1시간은 잡아야 하거든요. 출퇴근 다 합치면 2시간 넘게 걸리는데 저도 여기에 해당이 되는 얘기입니다. 출퇴근은 어떻게 활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1812131830117731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