한국 외교는 북핵 문제 해결에 대부분의 역량을 집중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지만, 미래 사회의 변화에 대비한 혁신도 무시할 수 없는 과제입니다. <br /> <br />이와 관련해 미국의 저명한 미래 사회 예측 전문가인 알렉 로스 존스 홉킨스대 교수는 4차 산업 혁명에 따라 외교 방식에도 큰 변화를 피할 수 없다고 강조했습니다. <br /> <br />왕선택 통일외교 전문기자의 보도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국립외교원이 한국 외교의 미래 과제를 예측하고 점검하기 위해 마련한 토론회에 버락 오바마 전 미국 대통령 선거 참모였던 알렉 로스 교수가 기조 발제자로 나섰습니다. <br /> <br />로스 교수는 4차 산업 혁명으로 엄청난 규모의 데이터 생산과 유통이 일반화되면서 거리와 시간 개념, 의사 소통 방법을 획기적으로 바꿀 것으로 전망했습니다. <br /> <br />[알렉 로스 / 미 존스홉킨스대 석좌방문교수 : 인류가 시작된 이후 초기 그림부터 지난 2003년까지 만들어낸 정보가 있는데, 지금은 같은 규모의 정보를 이틀 만에 생산합니다.] <br /> <br />문제는 산업 구조 변화에 따른 노동 시장 재편이 적절한 시간 내에 진행되지 못하면서 일부 노동자들의 불만을 키우고, 국내 정치 주요 쟁점과 양상을 뒤흔들고 있다는 부분입니다. <br /> <br />[알렉 로스 / 미 존스홉킨스대 석좌방문교수 : (자동화는) 인간 노동력이 소프트웨어에 자리를 내주기 때문에, 자동화의 충격은 극도로 분노하는 노동 계층을 만들어냅니다. 프랑스에서 우리가 목격하는 노동 계층이 바로 그들입니다.] <br /> <br />로스 교수는 4차 산업혁명에 따른 국내 정치 변화는 외교 과제와 방식에도 변화를 요구한다고 강조했습니다. <br /> <br />[알렉 로스 / 미 존스홉킨스대 석좌방문교수 : 미국과 중국의 분쟁에 관해서도 같은 방식으로 이해할 수 있는데, 제 생각에는, 미국 중산층 국민에게 중국에 강경 대응하고 있음을 보여줘야 한다는 정치적 압박감에 따른 부산물입니다.] <br /> <br />강경화 외교부 장관은 4차 산업 혁명에서 우리 나라를 선도국가로 지목하고, 협력을 요청하거나, 선도 국가로서 책임있는 역할을 기대하는 국제 사회 요구가 많다면서 이에 대한 대응 방안도 중장기적 외교 과제로 다루겠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YTN 왕선택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1812150539194985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