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국회는 연동형 비례대표제를 기본으로 하는 선거제 개편에 합의했는데요. <br> <br>이 제도를 도입하기 위해선 국회의원의 숫자를 늘리는 게 불가피한데 반대 여론을 뚫기가 쉽지 않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습니다. <br> <br>김철웅 기자가 짚어봤습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여야 5당은 내년 1월까지 선거제 개편 합의안을 내놓기로 했습니다. <br> <br>큰 틀에서 합의된 건 연동형 비례대표제 도입입니다. <br> <br>정당득표율과 의석수를 연동해 유권자가 표를 준 비율만큼 각 정당 의석수를 확보해주자는 겁니다. <br><br>예를 들어, 10% 지지율을 얻은 정당이 있다면 의석수도 300명 기준에서 정원의 10%, 30명이 보장됩니다. <br><br>역구에서 10명만 당선됐다면, 비례대표로 나머지 20명을 채워주는 식입니다. <br><br>때문에 정당득표율은 높지만 지역구 투표에서 1위 가능성이 낮은 군소정당에 유리한 제도입니다. <br> <br>문제는 현실적으로 의원 숫자가 늘어날 수밖에 없다는 데 있습니다. <br> <br>현행 300명 정원에서 연동형 비례제를 도입하려면 지역구 의석을 줄여야 하는데 현역 의원들이 받아들일 가능성은 낮습니다. <br> <br>일단 여야는 의원 정수를 30명까지 더 늘리는 10% 이내 확대부터 검토하기로 했습니다. <br> <br>[심상정 / 국회 정치개혁특위 위원장] <br>"10%라는 것이 딱 정해진 합의라기보다 의원 정수 확대 논의를 하라는 취지로 받아들입니다." <br> <br>하지만 자기 밥그릇 챙기기라는 국민들의 반대 여론부터 넘어야 합니다. <br> <br>결국, 내년 1월까지 의원정수 확대와 비례대표 비율 조정이 이뤄져야 하는데 시간이 많지 않습니다. <br> <br>여기다 권력구조 개편 같은 개헌 사항도 함께 논의하기로 해 실제 선거제도 개편까진 넘어야 할 산이 많다는 분석입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김철웅입니다. <br> <br>영상취재 : 채희재 <br>영상편집 : 오영롱