야생동물을 보호하기 위한 생태통로 조성이 주먹구구식으로 이뤄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동물이 없는 곳에 통로를 만들거나 정작 필요한 곳에는 설치되지 않는 식입니다. <br /> <br />심지어 생태통로 바로 옆에 발전소 건설을 허가하는 바람에 야생동물 서식지가 아예 사라진 곳도 있습니다. <br /> <br />송세혁 기자가 취재했습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강원도 삼척 7번 국도. <br /> <br />비탈면을 깎는 공사가 한창입니다. <br /> <br />지난 7월부터 야생동물 이동을 돕는 육교 형 생태통로를 짓는 겁니다. <br /> <br />세금 30억 원이 투입됩니다. <br /> <br />환경부의 백두대간 생태통로 복원 사업계획에 따른 것입니다. <br /> <br />그런데 불과 몇백 미터 떨어진 임야는 황량한 벌판으로 변했습니다. <br /> <br />2만 제곱미터가 넘습니다. <br /> <br />태양광발전소를 짓고 있는 겁니다. <br /> <br />환경영향평가를 내준 곳은 생태통로 복원 사업계획을 만든 환경부입니다. <br /> <br />[원주지방환경청 관계자 : (환경영향평가 협의서에) 생태통로에 대한 내용이 없었잖아요. 저희는 그쪽에 대해 검토하지 않은 상황이죠.] <br /> <br />발전소 공사가 시작된 뒤 주변 야생동물 서식지는 거의 사라졌습니다. <br /> <br />생태통로를 만들어봤자 움직일 동물이 없는 셈입니다. <br /> <br />게다가 이 일대는 생태통로를 대신할 시설도 이미 많습니다. <br /> <br />생태통로 설치 장소 바로 옆에는 야생동물들이 도로 아래로 충분히 다닐 수 있는 이런 터널형 박스가 이미 2개나 있습니다. <br /> <br />동해 백봉령 정상 부근 42번 국도. <br /> <br />이곳은 상황이 정반대입니다. <br /> <br />국토부가 야생동물이 차에 치여 죽는, 이른바 로드킬 방지 울타리를 설치했습니다. <br /> <br />길이만 1km에 이릅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도로 사이를 잇는 생태통로가 없는 상태에서 울타리만 설치하다 보니 오히려 동물들의 자유로운 이동을 방해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이런 엇박자 행정은 구조적인 문제 탓입니다. <br /> <br />국토부와 환경부, 지자체 사이에 야생동물 보호시설 사전 협의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는 겁니다. <br /> <br />[조범준 / 야생동물연합 사무국장 : 진짜 야생동물을 위한 위치에 설치했으면 좋겠어요. 왜냐하면, 생태통로를 이용도 안 하고 펜스 때문에 생태단절이 된다는 것은 야생동물을 죽이는 일이기 때문에….] <br /> <br />예산 수십억 원이 들어가는 생태통로. <br /> <br />하지만 주먹구구식으로 설치하면서 동물을 위한 통로가 아닌 전형적인 보여주기식 구조물로 전락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YTN 송세혁[shsong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15_201812170133055842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