정부가 3기 신도시 입지를 발표한 이후 해당 지역 주민들은 엇갈린 반응을 보이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생활 편의 시설이 개선될 거란 기대 속에 토지보상 문제 등이 순탄치 않을 거란 우려의 목소리도 만만치 않습니다. <br /> <br />이하린 기자가 현장에 다녀왔습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1,100여만 제곱미터로, 3기 신도시 예정지 가운데 규모가 가장 큰 남양주 왕숙지구입니다. <br /> <br />주민들은 본격적인 개발에 들어가면 교통망과 생활편의시설이 대폭 개선될 거라며 기대감을 내비쳤습니다. <br /> <br />[김자영 / 남양주시 진건읍 주민 : 집도 깨끗할 것이고, 달라져서 신세대 오면 너무 좋고, 하루를 살아도 편하고 건강하게…, 참 좋을 것 같습니다.] <br /> <br />하지만, 우려의 목소리도 있습니다. <br /> <br />토지 보상금 기준이 정해지지 않은 데다, 특히 어르신들이 많은 지역의 경우 생활 터전을 잃을지 모른다는 걱정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남영주시의 현재 인구는 64만 명! <br /> <br />다산·별내신도시와 맞닿은 곳에 6만 6천 가구를 수용할 또 하나의 신도시를 짓는 건 수요에 비해 과도한 공급이라는 지적도 있습니다. <br /> <br />[원종식 / 남양주시 진건읍 주민 : 조그맣더라도 옛날부터 농사짓는 전통이 있는데 그런 것 다 없애버리고 그냥 공사하기 좋게 쭉 잘라서….] <br /> <br />9.21 공급 대책 발표 당시 후보지로 거론돼 주민들의 반발이 거셌던 과천지역 역시 엇갈린 반응을 보이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[김남헌 / 과천 지역 공인중개사 : 반기는 분들은 부재지주들로서, 땅값 보상이 많이 나올 것이라는 기대가 있고, 농사를 20~30년 동안 지으신 분들은 여기를 떠나면 또 어딜 가서 보금자리를 터야 하나….] <br /> <br />아직 개발이 완료되지 않은 2기 신도시 주민들은 3기 신도시 건설에 밀려 교통대책에서 소외되고 집값도 떨어질 수 있다며, 불만을 감추지 못합니다. <br /> <br />[운정신도시 비상대책 위원회 관계자 : 교통망과 인프라를 갖추지 않은 상황에서 3기 신도시를 발표한 건 유감이고요. 광역교통망 대책으로 3호선 연장을 조속히 추진했으면 하는 예타(예비타당성조사)를 면제해주지 않으면 기간이 언제가 될지 알 수 없기 때문에….] <br /> <br />호재가 될 거란 기대 속에 각종 우려도 적지 않은 상황. <br /> <br />특히 임대 주택 비율이 높은 공공주택이 들어서는 데 대해 인근 주민들이 반발할 수 있어 정부의 주택공급계획이 시장에 어떤 영향을 줄 지는 좀 더 지켜봐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YTN 이하린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1812201837502391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