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미국의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, 즉 연준이 기준금리를 0.25%포인트 올렸습니다. <br> <br>우리 경제에 당장 큰 영향은 없지만 중장기적으로는 부담을 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옵니다. <br> <br>김철웅 기자입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미 연준은 오늘 기준금리를 0.25%포인트 오른 2.25~2.50%로 인상했습니다. 올 들어 네 번째 인상입니다. <br> <br>트럼프 대통령이 전날 "시장을 느껴라"며 금리동결을 압박했지만, 이를 일축했습니다. <br> <br>다만 향후 금리 인상 속도는 줄어들 것으로 보입니다. <br> <br>그동안 연준은 내년 3번의 금리 인상을 시사했지만, 이번에 2번으로 하향 조정했습니다. <br> <br>미국 경기 둔화 조짐에 대한 대응입니다. <br><br>우리와 금리 역전 차이는 다시 벌어졌습니다. 지난달 한국은행이 1년 만에 금리를 올려 격차를 줄였는데, 다시 0.75%포인트 차가 됐습니다. <br><br>미국의 이번 금리 인상은 예상된 수순이라 일단 우리 경제에 큰 타격은 없다는 분석이 나옵니다. <br> <br>[이호승 / 기획재정부 차관] <br>“감내할 수준일 것으로 판단되지만, 추가적인 불안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에도 철저히 대비하겠습니다.” <br> <br>한국은행은 미국의 금리 인상 속도 조절을 내심 반겼습니다. <br><br>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"각국의 통화정책 운용에 있어서 약간의 여유가 있을 수 있다"고 말했습니다.<br> <br>미국 금리 때문에 우리 금리를 인상해야 하는 압박감은 조금 줄어든 겁니다. <br> <br>하지만 한미 간 금리역전에 따른 자본유출 우려가 여전하고 미국 경기 둔화 조짐에 우리 경제의 고민은 깊어지고 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김철웅입니다. <br> <br>영상취재 : 정승호 <br>영상편집 : 장세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