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이렇게 철도와 도로 연결사업 착공식에는 정부가 먼저 제재 면제를 요청하고 있는데요. <br> <br>개성에 있는 연락사무소의 상황은 조금 다릅니다. <br><br>최근에 대형버스와 SUV 차량이 개성으로 반출됐는데, 어떤 사전 조치도 없어서 제재 위반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. <br> <br>이어서 유승진 기자가 보도합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통일부는 남북 공동연락사무소 개소식 이후인 지난 10월, <br><br>2억 7천만 원의 예산으로 남북 당국자들이 함께 쓸 대형버스 1대와 SUV 차량 2대를 구매했습니다. <br> <br>이 차량들은 지난달 개성 연락사무소에 배치돼 운행 중입니다.<br> <br>문제는 대북제재입니다. <br><br>유엔 대북제재 2397호에 따르면, 모든 종류의 '챠량'은 금수품목입니다. <br><br>북한에 판매는 물론 직간접적인 이전도 금지되어 있습니다.<br><br>앞서 연락사무소를 개보수하면서 전기를 공급하고 정수장을 가동할 때도 논란이 불거졌지만, 통일부는 그때마다 제재 위반이 아니라고 주장했습니다. <br> <br>[백태현 / 통일부 대변인 (지난 10월)] <br>"연락사무소의 원활한 운영과 인원들의 편의를 보장하기 위한 것으로써 북한에 경제적 이익을 주는 것이 아닙니다." <br><br>이번 전용 차량 반출도 같은 이유로 제재와 무관하다는 입장입니다. <br> <br>하지만 명백한 금수품의 잇따른 반출이 대북제재를 느슨하게 만드는 원인이 될 수 있다는 지적입니다. <br><br>지난 2016년 개성공단 폐쇄 이후 우리 기업인들이 쓰던 차량 290여 대는 아직 개성에 묶여 있습니다. <br> <br>지난해에는 북한이 이 차량을 이용하고 있단 정황들이 위성을 통해 포착되기도 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유승진입니다. <br> <br>영상편집 : 강 민