그제 밤 인도네시아 순다해협 인근 해안을 강타한 쓰나미로 2백여 명이 숨지고 8백 명 넘게 다쳤습니다. <br /> <br />아무런 전조 없이 밀어닥친 데다 해수면이 높아진 상태에서 발생해 피해를 키웠다는 분석입니다. <br /> <br />취재기자 연결합니다. 조수현 기자! <br /> <br />지금까지 집계된 피해 상황부터 정리해주시죠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이제 쓰나미 발생 30여 시간이 지났는데요. <br /> <br />지금까지 인도네시아 재난 당국이 확인한 사망자는 222명입니다. <br /> <br />이 가운데 160여 명이 유명 관광지인 판데글랑에서 나왔습니다만 사망자는 모두 현지인으로 파악됐습니다. <br /> <br />앞서 우리 외교부도 한국인 피해는 확인된 게 없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부상자는 843명으로 집계됐는데 중상자도 상당수 포함된 것으로 전해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또, 수십 명의 소재가 아직 파악되지 않고 있는데요. <br /> <br />현지 재난 당국은 중장비를 투입해 건물 잔해 수습과 실종자 수색에 주력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지금까지 확인된 사상자만 천 명이 넘는데, 피해 규모가 이렇게 컸던 배경은 어떻게 볼 수 있을까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이번 쓰나미는 크리스마스 연휴를 앞둔 휴일 밤 예고 없이 밀어닥쳤습니다. <br /> <br />피해가 집중된 순다 해협 인근 해변에는 축제도 한창이어서 많은 인파가 모여 있었는데요. <br /> <br />쓰나미 발생 직후 아무런 경보가 발령되지 않아 관광객과 주민들이 무방비로 당한 셈입니다. <br /> <br />보통 지진에 따른 쓰나미 우려가 있을 경우 지진 직후 경보가 발령되는데, 이번 쓰나미의 경우 지진 활동 등 별다른 전조가 없어 당국도 전혀 예측하지 못했다고 합니다. <br /> <br />쓰나미의 높이는 1m가 채 안 돼 쓰나미 자체는 큰 편이 아니었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만조와 겹쳐 해수면이 이미 상승한 상태에서 발생해 피해 규모를 키운 것으로 분석됩니다. <br /> <br />내륙 지역에는 3m의 해일까지 밀려와 초기 대응을 더욱 어렵게 했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쓰나미의 원인은 밝혀졌나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화산 분화로 인한 '해저 산사태'가 이번 쓰나미의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쓰나미가 발생한 지역에는 '아낙 크라카타우' 화산이 있는데요. <br /> <br />이 화산은 지난 6월부터 활동이 더욱 활발해지면서 소규모 분화를 반복해왔습니다. <br /> <br />그런데 쓰나미 발생 당일, 비교적 큰 분화를 일으켜 1,500m 높이까지 연기를 뿜어냈습니다. <br /> <br />이 화산이 수차례 분화하면서 바닷속 화산의 일부분이 무너져 쓰나미로 이어졌을 것이라는 관측입니다. <br /> 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1812241110434415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