내일 착공식이 열려도 대북제재가 풀릴 때까지 공사를 시작하긴 어렵습니다. <br /> <br />착공 없는 착공식으로 첫발은 뗀 셈인데, 본격적인 남북 철도 사업까지는 산 넘어 산입니다. <br /> <br />김지선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남북이 철도·도로 연결 착공식 일정에 합의한 이후에도 한미 간 협의는 계속됐습니다. <br /> <br />착공식 자체는 대북제재와 무관하지만, 개최 장소가 북한이다 보니 일부 물자와 장비, 소요 비용이 문제가 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결국, 북한 반입 장비와 물자에 대해 유엔 대북제재위원회의 면제 승인을 받기로 하면서 일단락됐습니다. <br /> <br />[이도훈 / 외교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 : 워킹그룹에서는 철도 연결 사업과 관련한 착공식이 예정대로 진행될 수 있게 되었습니다.] <br /> <br />착공식을 마친다 해도 착공까지는 순탄치 않은 길이 기다리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내년 초 추가 정밀조사를 계획 중이지만 대북제재 저촉 논란을 피하려면 또다시 협의가 필요해 보입니다. <br /> <br />대북제재를 놓고 대립 중인 북미 간 협상 교착이 계속될 경우, 정부가 남북 간 협력사업 별로 건건이 제재 면제 절차를 밟는 것도 어려울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[백태현 / 통일부 대변인 : (이번 착공식은) 본격적인 공사를 의미하는 거라기보다도 사업의 시작을 알리는 착수식의 의미가 있습니다.] <br /> <br />실제 공사는 북한의 비핵화 진전 및 국제사회 대북제재 상황을 보아가면서 추진하게 될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정부는 착공 여건이 갖춰질 때까지 사전 조사와 설계부터 미리 하겠다는 방침이지만, 예산도 문제입니다. <br /> <br />야당이 정확한 공사 방식과 비용을 공개하라며 반대하고 있지만 정작 이를 산출하기 위한 조사도 쉽지 않아, 남북 철도 협력이 본격화하기까지는 안팎으로 넘어야 할 산이 많아 보입니다. <br /> <br />YTN 김지선[sunkim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1812250036281321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