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북한이탈주민이 하나원을 수료한 뒤 정착을 위해 각종 지원을 받는 하나센터입니다. <br> <br>이곳에서 해킹으로 탈북민 997명의 자료가 유출됐습니다. <br> <br>최근 이렇게 탈북민을 표적으로 한 해킹이 늘고 있는데요. <br> <br>실제로 수년 사이 남북하나 재단에 대한 해킹 시도와 사이버 공격 무려 3546건이나 됐습니다. <br> <br>누구의 소행이고, 무엇을 노렸던 걸까요? <br> <br>박민우 기자가 보도합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지역의 탈북민 정착을 돕는 경상북도 하나센터가 해킹된 건 11월 초. <br><br>센터 대표 주소로 설문조사 요청 e-메일이 왔고 직원이 첨부된 한글파일을 열어본 순간 악성코드가 실행돼 해킹됐습니다. <br> <br>컴퓨터에 있던 자료가 다 유출됐는데 여기엔 직원이 따로 관리하던 탈북민 개인정보도 포함돼 있습니다.<br> <br>997명의 탈북민 이름과 생년월일, 주소가 해커 손에 넘어간 겁니다. <br> <br>그런데 해킹 사실을 알아차린 건 한 달이 훨씬 지난 뒤입니다. <br><br>통일부 관계자는 "사이버 대응 기관이 해킹 정황을 파악해 지난 19일 현장 조사를 했고 악성코드 감염을 확인했다"고 밝혔습니다. <br> <br>이후 전국 25곳 하나센터를 긴급 점검했지만 다른 해킹 피해는 없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. <br> <br>[임종완 / 경찰청 테러수사팀장] <br>"동일한 유형의 메일이 발견된 건 없기 때문에 현재로서는 (경북하나센터가) 타깃이 됐다고 볼 수 있겠죠." <br> <br>누가 해킹했고 목적이 뭔지는 밝혀지지 않았지만 북한 소행에 무게가 실리고 있습니다. <br> <br>이번 사고로 허술한 탈북민 개인정보 관리도 드러났습니다. <br><br>법령에 따라 문서 파일마다 암호를 설정하고, 인터넷과 분리된 컴퓨터에 자료를 저장해야 하는데 지켜지지 않았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박민우입니다. <br> <br>minwoo@donga.com <br>영상취재 : 임정구 <br>영상편집 : 민병석 <br>그래픽 : 박정재 박진수