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서울의 미세먼지는 중국 탓이 아니라는 중국 정부의 주장, 타당한건지 정책사회부 김단비 기자와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. <br><br>"서울 미세먼지는, 서울서 만들어졌다" 우리 국민들로선 황당한 이야기일텐데요. <br> <br>[질문1] 중국 정부의 주장, 과연 맞는겁니까. <br><br>결론부터 얘기하자면, 중국 정부가 자신들에게 유리한 수치만 인용한 주장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. <br> <br>최근 몇 년간 한국과 중국의 미세먼지 현황을 보면요, 2013년 중국 베이징의 초미세먼지 농도는 90 마이크로그램인데, 지난해 58 마이크로그램까지 떨어집니다. <br> <br>35% 나 떨어졌으니, "개선되고 있다"는 중국 측 설명이 어느정도는 맞습니다. <br> <br>그럼 우리는 어떨까요. <br> <br>2015년부터 지난해까지 거의 변화가 없습니다. <br> <br>여전히 중국이 우리보다 2배 이상 수치가 높습니다. <br> <br>특히 지난 3월 발생한 미세먼지의 경우 중국 등 국외 요인이 69%에 이른다는 연구결과도 나온만큼 '서울 미세먼지는 현지사정'이라는 중국의 주장은 설득력을 갖기 어렵습니다. <br><br>[질문2] 중국 영향이 69%라는 연구결과도 있는데 중국은 무슨 근거로 이렇게까지 주장하는 거죠. <br><br>미세먼지는 언제 측정했느냐에 따라서 요인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. <br> <br>우리나라 대기가 정체되면, 국내요인 비중이 당연히 커집니다. <br> <br>서울의 미세먼지 농도가 100마이크로그램 이상이었던, 지난달 11월의 경우 대기가 정체돼 중국의 영향이 덜했는데요, <br> <br>중국은 이날을 꼭 짚어 설명했습니다. <br> <br>또 미세먼지 발생요인 중 하나인 이산화질소 수치 하나만 놓고 주장한 것도 설득력을 갖기엔 역부족입니다. <br><br>[질문3] 유리한 통계만 인용한 것으로 보여지는데, 우리 정부는 어떻게 대응하고 있습니까. <br><br>보통 다음날 반박자료나 해명자료를 내놓기 마련인데, 환경부는 이례적으로 밤 11시에 출입기자들에게 메일을 보냈습니다. <br><br>그런데 내용을 보면요, 객관적인 정보 제공이라며 문제의 발언이 나온 현지 브리핑 내용을 번역한 자료에 불과했습니다. <br> <br>확대해석을 자제해달란 걸로 풀이가 되는데, 공식 석상에서 중국이 처음으로 반박에 나선 상황에서 이런 소극적인 태도가 적절했는지 의문입니다. <br><br>한중간 미세먼지 논란을 두고, 우리 정부가 미온적으로 대응하는 동안, 중국 정부는 미세먼지 책임론에서 서서히 발을 빼는 모양샙니다. <br> <br>지금까지 정책사회부 김단비 기자였습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