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'젠더 프리'부터 여성만 나오는 작품까지...공연계에 분 새바람 / YTN

2018-12-30 10 Dailymotion

여배우들이 설 자리가 적은 공연계에 올해에는 새로운 바람이 불었습니다. <br /> <br />여성 캐릭터에 주목한 작품들이 줄줄이 무대에 오르는가 하면 성별에 상관없이 남자와 여자가 같은 역할을 맡는 '젠더 프리' 캐스팅도 늘었습니다. <br /> <br />올 한해 공연계의 변화를 이지은 기자가 돌아봤습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라듐을 발견한 과학자 마리 퀴리를 주인공으로 만든 창작뮤지컬입니다. <br /> <br />대학로 창작뮤지컬계에서 드물게도 여성을 전면에 내세웠습니다. <br /> <br />[김소향 / '마리 퀴리' 마리 퀴리 역 : 기쁘기도 했고 한편으로는 그만큼 또 불안하고 무섭기도 했던 것도 사실이에요. 대학로에서는 여성 이름으로 된 캐릭터, 그런 작품이 저는 사실 유일무이하다고 생각하거든요. 그래서 책임감도 많이 느꼈고….] <br /> <br />여성 캐릭터가 중심이 된 작품은 올해 공연계에서 꾸준히 무대에 올랐습니다. <br /> <br />보수적인 19세기 영국을 배경으로 꿈을 향해 나아가는 여성소설가의 이야기를 담은 '레드북'이 큰 호응을 얻었고, 출연진 열 명 모두가 여성으로만 구성된 뮤지컬 '베르나르다 알바'는 2분 만에 표가 전부 팔려나가기도 했습니다. <br /> <br />성별에 구애받지 않는 이른바 '젠더 프리(Gender free)' 캐스팅도 그리 낯설지만은 않은 풍경이 됐습니다. <br /> <br />남자 배우가 엄마가 되고, 여자 배우가 할아버지의 어린 시절을 소화해냅니다. <br /> <br />[지이선 / '창문 넘어 도망친 100세 노인' 작가 (지난 6월) : 성별과 전혀 상관없이 인간이 할 수 있는 이야기를 하는 것에 연극적인 약속이라는 게 충분히 그걸 다 소화할 수 있을 것이라는 믿음이 있었고요.] <br /> <br />무엇보다 올해 우리 사회에 거세게 불어닥친 미투 운동이 공연계에도 큰 변화를 몰고온 것으로 분석됩니다. <br /> <br />[원종원 / 순천향대 교수 (뮤지컬평론가) : 기울어진 운동장이라는 표현을 쓰죠. 남녀의 성 평등에 대한 부분들이 본격적인 이슈로 등장하면서 게다가 몇몇 연출가들이 미투 파문에 연루되면서 공연계 뮤지컬계에서도 큰 파동이 있었다(라고 말씀드릴 수 있습니다.)] <br /> <br />다사다난했던 한 해를 겪고 여성주의라는 새로운 화두에 주목한 공연계가 새해에는 어떤 모습으로 관객들과 만날지 기대됩니다. <br /> <br />YTN 이지은[jelee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6_201812310543440941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