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기획재정부는 KT&G 동향 문건에 대해 윗선 지시나 보고는 없었다고 선을 그었는데요. <br> <br>하지만, 지난 5월 특감반이 확보한 기재부 실무자 휴대전화에는 고위층이 개입한 정황이 언급된 메시지가 있었습니다. <br> <br>이어서 최주현 기자가 보도합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지난 5월, 'KT&G 동향 문건' 유출자를 찾으러 기획재정부에 급파된 김태우 수사관 등 청와대 특별감찰반원들은 담당 공무원들의 휴대전화를 임의 제출받았습니다. <br> <br>당시 특감반이 확보한 기재부 공무원들의 휴대전화 SNS에선 윗선의 개입 정황을 언급한 메시지들도 발견됐습니다. <br> <br>한 사무관은 감찰에 대비해 "과장이 메일 삭제를 지시했다"는 메시지를 동료에게 보냈습니다. <br> <br>이어 "팩트는 이것"이라며, "과장이 뭔가를 만들어줬고, 자신은 그냥 폴더에 저장해둔 것밖에 없다"고 말합니다. <br><br>그런데도 윗선에서 실무자급에 책임을 떠넘기려 한다며 "차관도 자기가 지시 해놓고 배신감이 든다"고 불만을 드러냅니다. <br> <br>KT&G 인사 개입 정황이 담긴 동향 문건 작성 지시자로 차관을 지목한 겁니다. <br> <br>하지만, 이런 정황은 청와대 후속 조치로 이어지지 않았습니다. <br> <br>김태우 수사관은 당시 기재부 감찰은 인사 개입의 진위 파악이 아니라 문건 유출자 색출과 기강 잡기에만 맞춰졌다고 주장했습니다. <br> <br>[김태우 / 수사관 (4일 전)] <br>"공직자라고 해서 휴대전화를 받아서 개인 프라이버시까지도 탈탈 털어서 확인하고 그걸 바탕으로 사람을 조사하고…" <br> <br>이에 대해 기재부 관계자는 당시 청와대 특감반의 감찰이 있었지만, 구체적인 감찰 대상과 범위는 확인해줄 수 없다고 밝혔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최주현입니다. <br> <br>choigo@donga.com <br>영상편집 : 조성빈 <br>그래픽 : 원경종